<요약>
정책랩은 사회를 둘러싼 체계의 변화를 이끌기 위해 정부, 민간 싱크탱크, 다학제 연구자, 시민사회 등이 참여하는 협력적 정부혁신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음. 따라서 정책랩은 불확실한 행정환경에서 최적의 문제 해결책을 찾기 위해 다양한 행위자가 공동의 정책 실험을 수행하고 그 과정에서 오차를 발견·수정해 나가는 개방형 정부혁신의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음
정책랩은 ① 협력적 혁신을 기반으로 실험에 초점을 맞춘 참여형 행동연구를 지향하고 ② 디자인방법론을 활용하며 ③ 근본적·총체적 문제 대응을 위한 시스템적 접근을 시도한다는 특성이 있음 이와 같은 정책랩은 핀란드, 덴마크, 영국, 미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 2000년대 초반부터 실행되어오고 있음. 해외 선진국에서는 정책랩의 결과물(outcome)이 새로운 공공서비스, 특정 영역의 정책뿐아니라 정부 운영 원리의 변화, 협력적 거버넌스 관점에서 정부와 민간의 관계를 재정립할 수 있는
계기를 허락해 왔음. 주요 해외사례를 살펴본 결과 정책랩 운영은 위와 같은 과정을 누적시키며 문제의혁신적 해결책을 마련하고 나아가 사회 시스템 변화를 불러오는 효과가 있음
우리나라에서 정책랩 운영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변화 추동자로서의 정책랩 운영을 위한 구조가 마련되어야 하며, 정책랩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공무원 교육이 필요하고, 중립적·객관적 정책 전문가의 역할을 제고해야 함
<목차>
1. 배경 및 필요성
2. 정책랩의 개념과 특성
3. 해외 주요 정책랩 사례
4. 우리나라에서의 정책랩 운영을 위한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