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행정연구원

전체메뉴

닫기

HOME > 연구자료 > 연구보고서 > 공공리더십연구

공공리더십연구

기본연구과제 상세보기
적극행정 구현을 위한 창의적 리더십 요인 연구: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보고서명(영문) -
연구책임자 김기현 발행기관 한국행정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 외부연구참여자 -
출판년도 2020 수행년도 2020
페이지 146 ISBN -
보고서 유형 공공리더십연구 연구 유형 기초
주제 분류 조직,인사 자료 유형 정책/연구자료
등록일 2021-02-23 조회수 1524
관련 설문조사 -
연관검색어 -
첨부파일

바로보기 다운로드



국문초록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21세기 급변하는 행정환경의 변화로 정부의 ‘적극행정’의 필요성 대두
    ○ 최근 국내 적극행정의 이슈화
    ○ 적극행정의 필요성

  □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공·사 부문을 불문하고 ‘창의성(Creativity)’ 에 대한 주목
    ○ 창의성은 불확실성이 증폭된 변화의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해줄 수 있는 중요한 역량(Rifkin, 2014; Amabile, 1996; West, 1997).
    ○ 특히 공공부문의 창의성은 공공가치에 기반한 변화와 혁신을 위한 것이어야 함

  □ 적극행정을 구현하는 공무원들에게도 창의적 리더십이 필요
    ○ 적극행정에 있어서 창의성의 중요성
    ○ 적극행정에 있어서 창의적 리더십의 중요성

2. 이론적 검토

  □ 적극행정에 대한 검토
    ○ 적극행정의 개념에 대한 검토
    ○ 적극행정 구현의 의미에 대한 검토

  □ 창의적 리더십에 대한 검토
    ○ 국내외 창의적 리더십과 관련한 100여 편의 논문에 대해 창의적 리더십 연구경향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
    ○ 도출한 창의적 리더십 개념에 맞추어 창의적 리더십 요인 도출

  □ 적극행정과 창의적 리더십 관계에 대한 검토
    ○ 적극행정과 창의성의 관계
    ○ 적극행정과 공공 리더십의 관계

3. 연구설계

  □ 연구가설
    ○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탐색적 차원에서 적극행정과 창의적 리더십 간 관계에 대한 가설을 정립
    ○ 2020년 11월 16일부터 2020년 12월 10일까지 서울·경기 지역의 기초자치단체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 연구대상

4. 분석결과

  □ 최종 연구모형의 검증
    ○ 자료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후 최종 연구모형 확정
    ○ 연구 결과 창의적 리더십의 개인 차원 요인 및 창의적 리더십의 리더 차원의 요인이 적극행정 구현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남
    ○ 각 요인 간 영향력의 차이 검증

5. 이론적 함의 및 정책적 제언

  □ 이론적 함의
    ○ 적극행정 구현의 의미를 구체화
    ○ 창의적 리더십 문헌연구를 통해 창의적 리더십의 요인 도출
    ○ 적극행정 구현의 척도와 창의적 리더십 요인 간 관계 검증
    ○ 양적 방법론과 질적 방법론 사용

  □ 정책적 제언
    ○ 창의적 리더십의 개인 차원을 적극 제고
    ○ 창의적 리더십의 개인 차원 중 심리적 임파워먼트 강조
    ○ 창의적 리더십의 개인 차원 중 공직봉사동기 강조
    ○ 창의적 리더십의 개인 차원 중 내적동기 강조
    ○ 창의적 리더십의 리더 차원 중 ‘리더의 창의성 격려’ 강조
    ○ 공공리더십과 적극행정 차원의 공무원 교육의 필요

  □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적극행정 구현을 위한 5대 제언을 제시
    ○ ‘가치’와 ‘의미’ 부여
    ○ 권한위임을 통한 ‘자율성’과 ‘영향력’ 배양
    ○ 역량제고와 학습의 기회 제공
    ○ 새로운 도전과 창의적 아이디어에 대한 인정
    ○ 적극행정 문화의 정착

  □ 이 연구에서는 적극행정 구현을 위한 창의적 리더십 요인을 모색하고, 창의적 리더십 증진을 통한 적극행정 구현 방안을 제안하였음
 

목차

국문요약

제1장 21세기 적극행정과 창의적 리더십
  제1절 연구의 필요성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 목적 및 내용
    2. 연구 방법 및 대상

제2장 적극행정과 창의적 리더십
  제1절 적극행정
    1. 적극행정의 개념
    2. 적극행정 구현의 의미
  제2절 적극행정 구현의 사례
    1. 규정미비 극복과 문제해결 사례
    2. 효율적 업무방식 및 문제해결
    3. 불합리한 규정 극복 및 성과지향
    4. 규정 미비 및 불합리한 규정 극복 사례

제3장 적극행정 구현을 위한 창의적 리더십 요인(1): 문헌연구
  제1절 창의적 리더십에 대한 연구경향
    1. 창의적 리더십의 개념
    2. 창의적 리더십과 기존 리더십의 차이 분석
    3. 창의적 리더십 연구방법과 대상
  제2절 창의적 리더십의 요인
    1. 창의적 리더십의 개인 차원
    2. 창의적 리더십의 리더 차원
    3. 창의적 리더십의 조직 차원

제4장 적극행정 구현과 창의적 리더십 관계
  제1절 적극행정 구현과 창의성
    1. 적극행정 구현과 창의성
    2. 적극행정과 공공리더십
  제2절 적극행정 구현과 창의적 리더십 연구모형
    1. 적극행정 구현과 창의적 리더십 간 관계
    2. 적극행정과 창의적 리더십 연구모형

제5장 적극행정 구현을 위한 창의적 리더십 요인(2): 실증연구
  제1절 실증연구 조사설계
    1. 조사방법 및 대상 
    2. 설문조사의 설계
    3. 분석방법 
  제2절 실증연구 결과
    1. 응답자의 특성
    2.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3. 위계적 회귀분석

제6장 정책제언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함의 
  제2절 적극행정 제고방안 
    1. 개인 차원의 창의적 리더십 제고 
    2. 리더 차원의 창의적 리더십 제고 
    3. 공무원 교육을 통한 적극행정에 대한 인식 제고
    4. 적극행정 구현을 위한 정책적 제안 

참고문헌 
부  록 


연구책임자의 다른 발간물

기본연구과제의 번호, 제목, 연구책임자, 년도, 전문, 조회수 안내

기본연구과제 목록
제목 연구책임자 년도 전문
공공리더십 교육을 위한 창의적 리더십 사례 : 중앙정부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김기현 2019 바로보기 다운로드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리며 답변이 필요한 의견은 묻고답하기 게시판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담당부서 : 공공리더십ㆍ갈등관리연구실
  • 담당자 : 나지석
  • 문의사항 : 02-2007-0563

맨위로 이동

COPYRIGHT ⓒ 2022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LL RIGHTS RESERVED
(우)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35 대표전화 02)564-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