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행정연구원

전체메뉴

닫기

HOME > 연구자료 > 연구보고서 > 수시연구과제

수시연구과제

기본연구과제 상세보기
공공 리더십 교육운영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보고서명(영문) -
연구책임자 은재호 발행기관 한국행정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김세진, 소가영, 이다솜, 박서정 외부연구참여자 김유빈, 황은진
출판년도 2022 수행년도 2022
페이지 206 ISBN -
보고서 유형 수시연구보고서 연구 유형 정책
주제 분류 조직,인사 자료 유형 연구보고서
등록일 2022-10-21 조회수 810
관련 설문조사 -
연관검색어 공공행정   공공인재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교육프로그램  
첨부파일

바로보기 다운로드



국문초록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 신종위험의 등장 등으로 상징되는 미래 사회의 공무원은 기존의 정책 수단으로 해결이 불가능한 각종 사회적 난제(wicked problem)에 직면할 것으로 예측됨
○미래의 사회적 난제에 어떻게 대응하는지가 국가의 명운을 결정한다는 면에서, 미래의 사회적 난제에 대한 공무원의 정책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나아가 미래 사회의 변화를 선도할 수 있는 공직 리더의 육성에 초점을 맞춘 정부 차원의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함
○하지만, 현재 정부 차원의 공무원 교육프로그램은 미래 사회에 적합한 공무원의 정책대응 역량을 양성 및 강화하고, 미래 사회의 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직자의 리더십을 함양 및 증진하는 데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음
○따라서, 공직자의 ‘미래대응적’ 정책역량과 ‘미래 주도적’ 리더십을 전략적으로 함양 및 강화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공직자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미래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유능한 공무원 집단을 육성할 필요가 있음

2. 연구의 목적 및 기대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사회에 대한 선제적 대응 전략의 일환으로, 미래의 사회적 난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공무원의 정책역량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미래전략의 청사진을 제시하고 그에 따라 선도적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공무원의 리더십 역량을 증진할 수 있는 공무원 교육프로그램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것임
-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공무원 교육의 대표기관인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이 공무원의 ‘미래 주도적’ 리더십과 ‘미래 대응적’ 정책역량을 전략적으로 강화하기 위해서, 어떤 방향으로 공무원 교육프로그램을 재편해야 하는지를 면밀히 검토하고자 함
○본 연구의 결과물은 다음과 같은 정책적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됨
-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공무원 교육프로그램의 재설계 방향을 제시함
- 미래지향적 공무원 교육프로그램으로의 재편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공무원이 미래의 급격한 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는 데 기여함
- 공무원의 미래 대응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향후 대(對)국민 행정서비스의 질을 향상하는 데 공헌함


<이하 원문 확인>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김세진・은재호 3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3
2. 연구의 목적 및 기대효과 3
제2절 연구의 범위 | 김세진・은재호 5

제2장 미래 공공행정 환경의 전망 7
제1절 정치 분야(Political analysis) | 김유빈 10
1. 정치 신뢰 회복을 통한 사회통합 요구 확대 10
2. 동북아 평화 프로세스 구축과 한국의 전략적 위상 제고 필요 11
3. 공공행정 관점의 시사점 14
제2절 경제 분야(Economic Analysis) | 김유빈 15
1. 저성장 기조의 고착 현상 심화 15
2. 불평등과 경기 침체의 악순환(staginequality) 심화 16
3. 지역 소멸에 대한 대응과 지역 혁신 역량 확보 요구 18
4. 공공행정 관점의 시사점 21
제3절 사회 분야(Social Analysis) | 김유빈 22
1. 위기의 복합화, 상시화 시대 진입 22
2. 중앙-지역 간 대립 이슈 범위(분야)의 확대 24
3. 공공행정 관점의 시사점 25
제4절 기술 분야(Technological Analysis) | 김유빈 27
1. 국가 안보 자산화되는 전략기술 확보 중요성 확대 27
2. 통섭적 데이터 분석을 통한 정책설계 합리성 확보 요구 증가 29
3. 건강한 정보를 매개로 한 시민 사회와의 소통 확대 필요 31
4. 공공행정 관점의 시사점 33

제3장 미래 공공행정 환경 변화 대응을 위한 공공인재의 필요역량  35
제1절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공공행정 환경 변화 | 김유빈 37
제2절 공공행정 환경 변화 대응을 위한 공공인재 필요역량 유형 | 김유빈 40
1. 전통적인 공공인재와 미래 공공인재의 키워드와 역량 40
2. 미래 공공행정 환경 변화 대응을 위한 공공인재 필요역량 유형 43
제3절 ‘공공인재 필요역량’의 상호작용을 통한 미래 공공행정 방향 | 김유빈 54

제4장 국내・외 공무원 리더십 교육프로그램 실태 조사 57
제1절 한국의 공무원 리더십 교육프로그램 | 이다솜 59
1.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의 담당 기관 59
2.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60
3.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의 특징 88
제2절 미국의 공무원 리더십 교육프로그램 | 김세진 89
1.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의 담당 기관 89
2.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90
3.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의 특징 116
제3절 일본의 공무원 리더십 교육프로그램 | 김세진 117
1.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의 담당 기관 117
2.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117
3.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의 특징 126
제4절 프랑스의 공무원 리더십 교육프로그램 | 은재호 127
1.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의 담당 기관 127
2.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127
3.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의 특징 135
제5절 영국의 공무원 리더십 교육프로그램 | 소가영 137
1.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의 담당 기관 137
2.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137
3.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의 특징 152

제5장 국내 리더십 교육훈련의 미래지향적 재편방향  157
제1절 국내・외 리더십 교육훈련의 ‘미래 공공인재의 필요역량’ 유형별 분류 | 김세진・소가영・황은진 159
1. 국내・외 ‘미래 공공인재의 필요역량’ 유형별 분류 결과 159
2. 국내외 리더십 교육프로그램 현황 및 특징 165
제2절 국내 리더십 교육훈련의 재편방향 제언 | 황은진 170
1. 한국과 주요국 리더십 교육훈련의 ‘미래 공공인재의 필요역량’ 유형별 결과 비교 170
2. 시사점 및 재편방향 172
3. 교수법 발굴 제언 182

제6장 결론 | 김세진・은재호 189


연구책임자의 다른 발간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리며 답변이 필요한 의견은 묻고답하기 게시판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담당부서 : 전략기획팀
  • 담당자 : 강예림
  • 문의사항 : 02-2007-0630

맨위로 이동

COPYRIGHT ⓒ 2022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LL RIGHTS RESERVED
(우)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35 대표전화 02)564-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