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행정연구원

전체메뉴

닫기

HOME > 연구원소개 > 연구원개요 > 인권경영

인권경영

전담조직 및 인원배치

ㆍ인권경영 담당부서 : 경영지원실

ㆍ인권경영 담 당 자 : 김도균 인재경영팀장

< 인권경영 체계 구축을 위한 전담 조직도 >

 

인권경영 이행지침 제·개정

ㆍ한국행정연구원 「인권경영 이행 지침」 제정 완료(2018.12.31.), 개정(2019.07.01.)

: 전문가 자문 및 법률 검토 후 규정 정비(인권경영위원회)
  


ㆍ인권경영 이행 지침 주요내용
    

 

인권경영위원회 구성 및 운영

ㆍ한국행정연구원 인권경영위원회 구성 완료(2019.05.22. 인재경영팀:2019-2036)

ㆍ목적 : 임·직원을 포함한 이해관계자의 인권 보호 및 증진을 위한 자문기구

ㆍ기능 : 인권경영 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인권개선 권고에 관한 사항, 인권침해 접수사건에 대한 구제 조치에 관한 사항 및 그 밖의 인권보호와 증진을 위해 필요한 사항 등 자문

 

인권교육 훈련 실시

ㆍ전 직원 정기교육(2019.12.02.)

: 인권경영선언 및 공표일에 전문강사 초빙하여 교육진행

: 인권감수성 교육, 인권경영 이론 및 실무 교육, 직무와 연관된 실무 교육 등

ㆍ인권경영 담당자 전문훈련(2019.12.18.)

: 국가인권위원회 사이버 인권교육 수강(국가인권위원회-인권교육센터)

: 매년 국가인권위원회 인권경영 포럼 참석을 통한 정보·인적 네트워크 구축

 

인권경영 선언·공표 및 홈페이지 게재

ㆍ인권경영선언문 초안을 전문가(인권경영위원회) 자문(2019.07.17.) 및 부서장 회의 등 내부 회의체를 활용한 의견수렴(2019.07.29.)을 실시

ㆍ인권경영선언문 최종안 기관장 승인(2019.08.05.)

ㆍ인권경영선언문 공표(2019.08.05.)
   ⇒ 한국행정연구원 인권경영선언문 다운로드

ㆍ인권경영선언문 선언 및 공표 과정
  

전담조직 및 인원배치

ㆍ인권경영 담당부서 : 경영지원실

ㆍ인권경영 담 당 자 : 김도균 인재경영팀장

< 인권경영 체계 구축을 위한 전담 조직도 >

 

인권경영 이행지침 제·개정

ㆍ한국행정연구원 「인권경영 이행 지침」 제정 완료(2018.12.31.), 개정(2019.07.01.)

: 전문가 자문 및 법률 검토 후 규정 정비(인권경영위원회)
  


ㆍ인권경영 이행 지침 주요내용
    

 

인권경영위원회 구성

ㆍ한국행정연구원 인권경영위원회 재구성 완료(2020.01.10. 인재경영팀:2020-139)

ㆍ내부(경영부원장, 경영지원실장, 노사협의회 노측의장)
외부(변호사, 노무사, 지역주민) 총 6인으로 구성됨

ㆍ목적 : 임·직원을 포함한 이해관계자의 인권 보호 및 증진을 위한 자문기구

ㆍ기능 : 인권경영 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인권개선 권고에 관한 사항, 인권침해 접수사건에 대한 구제 조치에 관한 사항 및 그 밖의 인권보호와 증진을 위해 필요한 사항 등 자문

 

인권경영위원회 운영(총 1회)

ㆍ1차 : 인권경영 현황보고, 2020년도 인권영향평가 실시 등(2020.12.11.)

 

(확대) 인권교육 및 훈련 실시(인권경영 관련 전년도 지적사항에 대한 개선사항)

ㆍ인권 감수성 및 각 분야별 인권 침해 행위 예방을 위한 정기 교육 확대 실시

기관별 경영공시 대메뉴 목록(일반현황, 기관운영 , 주요산업 및 경영성과, 대내외 평가, 공지사항 순으로 기관별 경영공시 대메뉴 목록 입니다.)
번호 구분 일시 비고
1 폭력예방 통합교육(1차) 2020.05.25. 14:00-16:00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포함
2 폭력예방 통합교육(2차) 2020.12.17.
3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2020.05.06. 11:00-12:00 -
4 직장 내 괴롭힘 예방 교육 2020.06.01. 11:00-12:00 -
5 갑질 근절 교육(4회) 2020.06.08. ~ 2020.06.29. 부서별 분산 교육
6 조직 스트레스 관리 교육 2020.08.05. 14:00-16:00 -
7 아동학대 예방 교육 2020.12.17. -
 

인권경영 선언·공표 및 홈페이지 게재

ㆍ인권경영선언문 초안을 전문가(인권경영위원회) 자문(2019.07.17.) 및 부서장 회의 등 내부 회의체를 활용한 의견수렴(2019.07.29.)을 실시

ㆍ인권경영선언문 최종안 기관장 승인(2019.08.05.)

ㆍ인권경영선언문 공표(2019.08.05.)
   ⇒ 한국행정연구원 인권경영선언문 다운로드

ㆍ인권경영선언문 선언 및 공표 과정
  

전담조직 및 인원배치

ㆍ인권경영 담당부서 : 행정지원실

ㆍ인권경영 담 당 자 : 김소영 총무인사팀장

< 인권경영 체계 구축을 위한 전담 조직도 >

 

인권경영 이행지침 제·개정

ㆍ한국행정연구원 「인권경영 이행 지침」 제정 완료(2018.12.31.), 최근개정(2021.11.01.)

: 전문가 자문 및 법률 검토 후 규정 정비(인권경영위원회)
  


ㆍ인권경영 이행 지침 주요내용
    

 

인권경영위원회 구성

ㆍ한국행정연구원 인권경영위원회 재구성 완료(2021.11.02. 총무인사팀:2021-836)

ㆍ내부(부원장, 행정지원실장, 노사협의회 노측의장)
외부(변호사, 노무사, 지역주민) 총 6인으로 구성됨

ㆍ목적 : 임·직원을 포함한 이해관계자의 인권 보호 및 증진을 위한 자문기구

ㆍ기능 : 인권경영 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인권개선 권고에 관한 사항, 인권침해 접수사건에 대한 구제 조치에 관한 사항 및 그 밖의 인권보호와 증진을 위해 필요한 사항 등 자문

 

인권경영위원회 운영(총 2회)

ㆍ1차 : 인권경영 현황보고, 2021년도 인권영향평가 실시 등(2021.12.09.)

ㆍ2차 : 2021년도 인권영향평가 실시 등(2021.12.20.)

 

(확대) 인권교육 및 훈련 실시(인권경영 관련 전년도 지적사항에 대한 개선사항)

ㆍ인권 감수성 및 각 분야별 인권 침해 행위 예방을 위한 정기 교육 확대 실시

기관별 경영공시 대메뉴 목록(일반현황, 기관운영 , 주요산업 및 경영성과, 대내외 평가, 공지사항 순으로 기관별 경영공시 대메뉴 목록 입니다.)
번호 구분 일시 비고
1 성범죄 방지 교육 2021.01.15.(금) 교육자료 배포 등
2 성범죄 방지 교육 2021.05.10.(월) 14:00-16:00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포함
3 폭력예방 통합교육(2차) 2021.12.23.(목) 13:00-15:30
4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2021.06.07.(월) 11:00-12:00 -
5 직장 내 괴롭힘 예방 교육 2021.11.30.(화) 13:00-14:00 -
6 갑질 근절 교육(1차) 2021.03.09.(화) 교육자료 배포 등
7 갑질 근절 교육(2차) 2021.06.28.(월) 14:00-15:00 -
8 조직 스트레스 관리 교육 2021.09.01.(수) 14:00-16:00 -
9 아동학대 예방 교육 2021.12.10.(금) -
 

인권경영 선언·공표 및 홈페이지 게재

ㆍ인권경영선언문 초안을 전문가(인권경영위원회) 자문(2019.07.17.) 및 부서장 회의 등 내부 회의체를 활용한 의견수렴(2019.07.29.)을 실시

ㆍ인권경영선언문 최종안 기관장 승인(2019.08.05.)

ㆍ인권경영선언문 공표(2019.08.05.)
   ⇒ 한국행정연구원 인권경영선언문 다운로드

ㆍ인권경영선언문 선언 및 공표 과정
  

전담조직 및 인원배치

ㆍ인권경영 담당부서 : 행정지원실

ㆍ인권경영 담 당 자 : 김도균 총무인사팀장

< 인권경영 체계 구축을 위한 전담 조직도 >

 

인권경영 이행지침 제·개정

ㆍ한국행정연구원 「인권경영 이행 지침」 제정 완료(2018.12.31.), 최근개정(2021.11.01.)

: 전문가 자문 및 법률 검토 후 규정 정비(인권경영위원회)
  


ㆍ인권경영 이행 지침 주요내용
    

 

인권경영위원회 구성

ㆍ한국행정연구원 인권경영위원회 재구성 완료(총무인사팀:2022-7962, 2022.11.01.)

ㆍ내부(부원장, 행정지원실장, 노사협의회 노측의장), 외부(변호사, 노무사, 지역주민) 총 6인으로 구성됨

ㆍ목적 : 임·직원을 포함한 이해관계자의 인권 보호 및 증진을 위한 자문기구

ㆍ기능 : 인권경영 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인권개선 권고에 관한 사항, 인권침해 접수사건에 대한 구제 조치에 관한 사항 및 그 밖의 인권보호와 증진을 위해 필요한 사항 등 자문

 

인권경영위원회 운영(총 2회)

ㆍ1차 : 인권경영 현황보고, 2022년도 인권영향평가 실시 등(2022.12.07.)

ㆍ2차 : 2022년도 인권영향평가 실시 등(2022.12.26.)

 

인권교육 및 훈련 실시

ㆍ인권 감수성 및 각 분야별 인권 침해 행위 예방을 위한 정기 교육 확대 실시

기관별 경영공시 대메뉴 목록(일반현황, 기관운영 , 주요산업 및 경영성과, 대내외 평가, 공지사항 순으로 기관별 경영공시 대메뉴 목록 입니다.)
번호 구분 일시 비고
1 4대 폭력 예방교육 (성희롱,성매매,성폭력,가정폭력) 2022.05.01.~ 2022.12.31.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통합 사이버교육연수 프로그램
2 직장 내 괴롭힘 예방교육
3 공정사회 및 인권사회 구현
4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5 사회적 장애인식개선 교육
6 공공부분 종사자 아동학대 예방교육
7 조직 스트레스관리 교육(컬러테라피) 2022.06.09. KIPA협의회(전직원 참여)
 

인권경영 선언·공표 및 홈페이지 게재

ㆍ인권경영선언문 초안을 전문가(인권경영위원회) 자문(2019.07.17.) 및 부서장 회의 등 내부 회의체를 활용한 의견수렴(2019.07.29.)을 실시

ㆍ인권경영선언문 최종안 기관장 승인(2019.08.05.)

ㆍ인권경영선언문 공표(2019.08.05.)
   ⇒ 한국행정연구원 인권경영선언문 다운로드

ㆍ인권경영선언문 선언 및 공표 과정
  

2019년도 인권영향평가 계획 수립(2019.12.20.)

ㆍ(목적) 기관의 경영활동 및 주요사업으로 인해 인권에 미칠 수 있는 실제적·잠재적 인권 리스크 사전 파악을 위한 자체점검

ㆍ기관운영 및 주요사업 인권영향평가 체크리스트 작성

 

2019년도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교육 실시(2019.12.20.)

ㆍ(목적) 국가인권위원회가 제시한 인권경영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기반 지표에 대한 숙지 및 이해를 위한 교육

ㆍ인권영향평가 세부평가 지표에 맞는 관계부서 실무 교육 실시
 

<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교육자료 >

 

인권영향평가 실시 및 결과보고서 작성·보고

ㆍ인권영향평가 체크리스트 세부평가 지표에 대한 증빙자료를 각 부서로부터 취합하여 체크리스트 작성(2019.12.20.-12.24.)

ㆍ인권영향평가 체크리스트 등 일체 인권경영위원회 제출(2019.12.26.)

ㆍ인권경영위원회는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평가 실시(2019.12.26.) : 전년도 인권영향평가 결과처리 및 이행실적, 성과 등도 함께 평가

ㆍ인권경영위원회의 인권영향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결과보고서 작성 완료
 2019년도 인권영향평가 결과보고 다운로드
 2019년도 인권영향평가 결과보고 첨부자료 다운로드

< 2019년도 인권영향평가 결과(요약) >

2020년도 제1차 인권경영위원회 개최 시, 인권영향평가 추진 계획 논의 진행

2020년도 인권영향평가 계획 수립(2020.12.07.)

ㆍ(목적) 기관의 경영활동 및 주요사업으로 인해 인권에 미칠 수 있는 실제적・잠재적 인권 리스크 사전 파악을 위한 점검

ㆍ기관운영 및 주요사업 인권영향평가 체크리스트 작성

 

2020년도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교육 실시(2020.12.07.)

ㆍ(목적) 국가인권위원회가 제시한 인권경영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기반 지표에 대한 숙지 및 이해를 위한 교육

ㆍ인권영향평가 세부평가 지표에 맞는 관계부서(인재경영팀, 자산운영팀, 전산정보팀 등) 실무 교육 실시
 

인권영향평가 체크리스트 세부평가 지표에 대한 증빙자료를 각 부서로부터 취합하여 체크리스트 작성(2020.12.07.-12.11.)

인권경영위원회는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평가 실시(2020.12.14.-12.18.)

인권경영위원회의 인권영향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결과보고서 작성 완료

 2020년도 인권영향평가 결과보고 다운로드
 2020년도 인권영향평가 결과보고 첨부자료 다운로드

2021년도 제1차 인권경영위원회 개최 시, 인권영향평가 추진 계획 논의 진행

2021년도 인권영향평가 계획 수립(2021.12.09.)

ㆍ(목적) 기관의 경영활동 및 주요사업으로 인해 인권에 미칠 수 있는 실제적・잠재적 인권 리스크 사전 파악을 위한 점검

ㆍ기관운영 및 주요사업 인권영향평가 체크리스트 작성

 

2021년도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교육 실시(2021.12.09.)

ㆍ(목적) 국가인권위원회가 제시한 인권경영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기반 지표에 대한 숙지 및 이해를 위한 교육

ㆍ인권영향평가 세부평가 지표에 맞는 관계부서(인재경영팀, 자산운영팀, 전산정보팀 등) 실무 교육 실시
 

인권영향평가 체크리스트 세부평가 지표에 대한 증빙자료를 각 부서로부터 취합하여 체크리스트 작성(2020.12.07.-12.11.)

인권경영위원회는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평가 실시(2021.12.09.-12.15.)

인권경영위원회의 인권영향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결과보고서 작성 완료

 2021년도 인권영향평가 결과보고 다운로드
 2021년도 인권영향평가 결과보고 첨부자료 다운로드

2022년도 제1차 인권경영위원회 개최 시, 인권영향평가 추진 계획 논의 진행

2022년도 인권영향평가 계획 수립(2022.12.07.)

ㆍ(목적) 기관의 경영활동 및 주요사업으로 인해 인권에 미칠 수 있는 실제적・잠재적 인권 리스크 사전 파악을 위한 점검

ㆍ기관운영 및 주요사업 인권영향평가 체크리스트 작성

 

2022년도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교육 실시(2022.12.07.)

ㆍ(목적) 국가인권위원회가 제시한 인권경영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기반 지표에 대한 숙지 및 이해를 위한 교육

ㆍ인권영향평가 세부평가 지표에 맞는 관계부서 실무 교육 실시(2022.12.08)
 

인권영향평가 체크리스트 세부평가 지표에 대한 증빙자료를 각 부서로부터 취합하여 체크리스트 작성 및 평가실시(2022.12.07.-12.13.)

인권경영위원회의 인권영향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결과보고서 작성 완료(2022.12.26.)

ㆍ 협력사의 인권보호에 대한 책임있는 의무 이행의 의미를 명확히 하고자 인권경영이행지침 문구 일부 수정 권고

ㆍ 인권경영 구제절차에 대한 평가 결과, 인권침해(인권침해, 성폭력, 갑질피해 등) 발생 시 신고할 수 있는 구제 절차 마련 확인(기관 홈페이지 및 인트라넷)

ㆍ 인권경영지침 등 규정에 의거하여 사건 발생 시 구제할 수 있는 절차 운영 중. 다만 연 1회 이상 전 직원 대상 원내 공지사항, 메신저 등을 통해 구제절차 홍보를 확대할 것을 권고

인권영향평가 결과를 기관장 보고 및 인권침해 방지 조치 수립ㆍ시행

결과 보고서는 인트라넷 및 홈페이지 게시를 통하여 공개

 2022년도 인권영향평가 결과보고 다운로드
 2022년도 인권영향평가 결과보고 첨부자료 다운로드1
 2022년도 인권영향평가 결과보고 첨부자료 다운로드2

 

인권경영 실행

ㆍ인권 리스크 분석을 통한 우선순위 부여 및 방지 조치 계획 수립(2019.12.26.)
 

< 인권경영실행(이행조치) >

 

구제 절차

ㆍ인권침해행위 신고 및 구제절차
 

< 인권침해행위 신고 및 구제절차 >


ㆍ인권구제 매뉴얼과 가이드라인에 따라 진정(피해신고) 접수 및 구제 시행
 

< 인권침해신고센터 운영 >


인권 리스크 분석을 통한 방지 조치 계획 수립(2020.12.30.)

인권영향평가 결과 인권 리스크의 심각성이 높게 분석된 사안에 대하여 경영지원실, 감사실, 해당 사업부서와 논의를 거쳐 부서장 회의에서 인권 리스크 및 방지 조치 계획 수립

 

해당 사업부서에 방지조치, 실행방법 전달 및 방지조치 실행 모니터링

구제 절차

인권침해행위 신고 및 구제절차
 

< 인권침해행위 신고 및 구제절차 >


ㆍ인권구제 매뉴얼과 가이드라인에 따라 진정(피해신고) 접수 및 구제 시행
 

< 인권침해신고센터 운영 >


인권 리스크 분석을 통한 방지 조치 계획 수립(2021.12.20.)

인권영향평가 결과 인권 리스크의 심각성이 높게 분석된 사안에 대하여 경영지원실, 감사실, 해당 사업부서와 논의를 거쳐 부서장 회의에서 인권 리스크 및 방지 조치 계획 수립

 

해당 사업부서에 방지조치, 실행방법 전달 및 방지조치 실행 모니터링

구제 절차

인권침해행위 신고 및 구제절차
 

< 인권침해행위 신고 및 구제절차 >


ㆍ인권구제 매뉴얼과 가이드라인에 따라 진정(피해신고) 접수 및 구제 시행


ㆍ(권한 확대) 2021년도 제3차 제안심사위원회 채택제안 이행 요청(2021.09.30.)에 따른 청년인턴 인권 보호를 위한 시스템 신고권한 확대 실시(2021.10월 중 개선 완료)

인권 리스크 분석을 통한 방지 조치 계획 수립(2022.12.26.)

인권영향평가 결과 인권 리스크의 심각성이 높게 분석된 사안에 대하여 경영지원실, 감사실, 해당 사업부서와 논의를 거쳐 부서장 회의에서 인권 리스크 및 방지 조치 계획 수립

 

해당 사업부서에 방지조치, 실행방법 전달 및 방지조치 실행 모니터링

구제 절차

인권침해행위 신고 및 구제절차
 

< 인권침해행위 신고 및 구제절차 >


ㆍ인권구제 매뉴얼과 가이드라인에 따라 진정(피해신고) 접수 및 구제 시행


 
  • 담당부서 : 인재개발팀
  • 담당자 : 최재희
  • 문의사항 : 02-2007-0680

맨위로 이동

COPYRIGHT ⓒ 2022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LL RIGHTS RESERVED
(우)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35 대표전화 02)564-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