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행정연구원(원장 권혁주)은 자체 개발한 공공리더십 역량 모델과 진단지를 실제 고위공직자 리더십 사례 분석에 활용하기 위해 역대 정부의 전직 장관 4인을 심층 인터뷰하고 이 시대에 요구되는 공공리더십의 롤모델을 제시한 「경세제민의 공공리더십」을 발간했다.
* ROLE 모델: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진이 공공조직 내에서 리더가 반드시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으로 서로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는 8개 역량(윤리성, 신뢰, 공익추구, 변화관리, 갈등조정, 방향제시, 소통, 전문성)을 나타내는 4개의 단어(Raise, Outstanding, Lamp, Echo)의 첫 글자를 따서 개발하였음. 공공리더십이란 “개인의 내적 가치와 외부환경에 대한 이해, 그리고 조직의 내부 동향과 외부 영향에 관한 반응을 통합적으로 조화롭게 관리하며 공공의 이익과 공공가치의 실현을 지향하는 리더십”으로 정의함 |
○ 이 책은 우리 사회 각 분야에서 중요한 공공리더십을 실천하고 발휘해 온 김명자, 박재완, 이주영, 강경화 네 명의 前 장관의 사례를 통해 공공리더십의 롤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 경영학 및 행정학 분야 리더십 전문가 4인(김현준, 엄석진, 양재완, 최우재 교수)이 김명자, 박재완, 이주영, 강경화 前 장관을 심층 인터뷰하고 전기적 관점에서 공공리더십 실천사례를 제시했다.
□ 이 책의 각 챕터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각 장관의 전기적 심층 인터뷰, 두 번째는 각 장관의 리더십 역량 진단, 분석 및 해석이다.
○ 먼저 심층 인터뷰에서는 장관이 되기까지 겪은 역경과 고난, 인생의 터닝포인트, 장관으로 재직하면서 경험한 장관 리더십에 대한 장애요인과 극복 방법, 이후공직 생활에 대한 소회 등을 구술하였다.
○ 이어서 각 연구진이 관찰한 각 장관의 리더십 특징을 일반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공공리더십 역량 진단지를 분석한 결과와 함께 설명하였다.
- 리더십 전문가가 각 장관의 리더십 특성과 스타일을 분석하고 정리함으로써 독자들이 리더십 역량 개발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집필하였다.
□ 대내외적으로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사회 갈등이 심화되는 이 시대에, 고위공직자들에게 요구되는 리더십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진 상황이다.
○ 이 책은 우리 사회가 당면한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고 국가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공리더십의 롤모델을 함양하고 확산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공공리더십 단행본 영문판 발간 및 홈페이지 게시 예정(2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