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행정연구원(원장 권혁주) 행정혁신연구실에서 “AI 정책난제 토픽모델링 분석 및 시사점”을 주제로 한 <정책난제 인사이트> 통권 3호(2025년 1호)를 발간했다.
□ <정책난제 인사이트> 통권 3호에서는 지난 10여 년간 축적된 신문기사와 학술논문, 정책보고서 등 방대한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AI가 야기한 대표적인 정책적 난제들을 도출했다.
□ 2015년 1월 이후 2025년 2월 말까지 발표된 국내 주요 신문기사와 학술논문 및 정책보고서를 대상으로 AI 관련 내용을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해 신문기사 10대 주요 난제이슈와 논문 및 보고서 10대 주요 난제이슈를 다음과 같이 각각 도출했다.
- 신문기사 10대 토픽

- 논문·보고서 10대 토픽
□ 도출된 신문기사 10대 주요 난제이슈와 논문·보고서 10대 주요 난제이슈의 10년간의 변화의 흐름도 분석하였다. 신문기사 10년 동안의 데이터에서 도출된 10개 토픽 중, 10년 동안 지속적으로 관심을 받은 이슈는 ‘AI 시대의 인간성’과 ‘산업의 AI 전환’이었다. 논문·보고서 분석 결과도 비슷하여 10년간 지속된 이슈는 ‘AI 인재 양성과 윤리’, 그리고 ‘AI 산업 전환과 규제’였다.
□ AI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의 시사점과 대응방안 pool을 제시하고 있는데, (1) 다양한 주체들의 참여를 통한 AI 거버넌스 및 생태계 구축, (2) AI 기술의 발전 및 AI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 제고, (3) 법제와 규범, 윤리 가이드라인 등의 마련 및 지속 보완, (4) 인재 확보 및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과 인프라 구축, (5) AI를 위한 데이터 확보 및 Sovereign AI의 추진, (6) 국제협력과 AI 관련 법제와 가이드라인의 표준화 등의 필요성을 특히 강조했다.
►[2025년 정책난제 인사이트 1(통권 3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