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행정연구원

전체메뉴

닫기

보도자료 상세정보 보기
세종국가리더십위원회 제41차 세종국가리더십포럼 개최 - 21세기형 미래전략 -
작성자 정은경
등록일 2022-05-26
첨부파일
조회수 798
세종국가리더십위원회 제41차 세종국가리더십포럼 개최
- 21세기형 미래전략 -


 

□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이사장 정해구) 산하 세종국가리더십위원회(위원장 최상한)는 5월 18일(수) 오후 3시부터 세종국책연구단지(연구지원동(A동) 2층 중강당4)에서, ‘21세기형 미래전략’이라는 주제로 ‘제41차 세종국가리더십포럼’을 개최하였다.

○ 본 포럼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하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홈페이지(www.nrc.re.kr)와 유튜브(경제·인문사회연구회 채널)를 통한 온라인 생중계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 국회미래연구원 김현곤 원장이 연사로 나선 이번 포럼은 포럼은 21세기 미래사회의 패러다임을 살펴보고, 이러한 패러다임에 성공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미래 국가전략을 논의하고자 마련되었다.

○ 정해구 이사장은 환영사에서 “미래의 불확실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의 미래전략이 필요하다. 하지만 미래 관련 연구는 지극히 부족하여 미래 국가전략을 수립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21세기형 미래전략을 다루는 본 강연이 우리나라가 선제적이고 효과적인 미래 국가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김현곤 원장은 본 포럼에서 21세기 미래사회 패러다임은 지능화, 기후 위기, 고령화, 개인화로 특징 지워진다고 설명하며, 특히 고령화에 주목하여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나아가, 김 원장은 특정 국가가 미래의 고령화에 대하여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지 여부가 그 국가의 명운을 결정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 김현곤 원장은 과거의 사회는 개인이 국가의 발전을 위해 희생하는 ‘성장사회’였던 반면에 미래의 사회는 개인이 자신의 행복을 최대한 향유하는 ‘성숙사회’라고 설명하며, 미래 국가전략은 개인의 행복을 최대한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나아가, 김 원장은 고령화된 미래 사회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국가전략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다수의 개인은 고령의 나이에 이르렀을 때 극심한 불행을 경험할 것이라고 역설하였다.

○ 마지막으로, 김현곤 원장은 고령화된 미래사회에서 개인의 행복을 전(全) 생애에 걸쳐 보장하기 위해서는 평생현역, 평생건강, 평생학습에 대한 적극적 지원책이 미래 국가전략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국토연구원 강현수 원장의 주재로 진행된 토론에서는 미래 국가전략 수립상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김현철 원장은 미래사회의 주인공은 청소년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미래 국가전략에는 청소년을 위한 직업 창출 방안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특히, 김 원장은 정부가 AI 혁명을 주도하여 다양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문미옥 원장은 기존의 현재 국가 미래전략의 수립을 주도하는 전문가 집단은 주로 고령의 남성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지적하며, 다양한 연령층의 남성과 여성 전문가가 국가 미래전략의 수립에 참여할 수 있는 경로를 마련하여 국가 미래전략의 내실성을 증대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한국개발연구원 홍장표 원장은 현(現) 미래 국가전략이 지나치게 이상주의에 매몰되어 현실적용성이 매우 낮다고 지적하였다. 나아가, 홍 원장은 주요 정책 결정자들은 이상과 현실의 간극을 냉정하게 인식하고 실현가능한 미래 국가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 국무총리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는 2018년 연구회 소관 26개 국책연구기관이 참여하는 ‘세종국가리더십위원회’를 발족하고, 포용국가 달성을 위해 주요 국정현안에 지혜롭게 대응할 수 있는 고위정책결정자의 리더십을 함양하고자,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및 정부출연연구기관 최고책임자들을 초청해 매월 1회, 정기적으로 포럼을 개최하고 있다.

<첨부>
1. 포럼 초청장 1부
2. 포럼 발표자료 1부


 
메인화면썸네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리며 답변이 필요한 의견은 묻고답하기 게시판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담당부서 : 홍보팀
  • 담당자 : 정은경
  • 문의사항 : 02-2007-0656

맨위로 이동

COPYRIGHT ⓒ 2022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LL RIGHTS RESERVED
(우)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35 대표전화 02)564-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