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특별히 이미 사회적으로 다양한 차원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점점 더 필요합니다. 이들은 이미 위험에 가까이 있을 뿐 아니라 실제로 위험을 경험했을 때 이로부터 회복하거나 하는 과정에도 더 큰 어려움을 겪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사회적인 취약계층이 경험하는 안전, 특별히 일상생활에서의 안전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았던 것도 사실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들에게는 사회정책들이 우선적으로 적용되고 있었기 때문에 오히려 별도의 정책이 필요할 것이라는 시선이 있었던 것도 한 원인이겠지만, 보다 중요하게는 ‘생활안전’이라는 보다 총체적인 시각에서 이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을 보려는 노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목차
제1장 서 론 [김성근]
제1절 연구의 배경 2
제2절 연구 목적 및 내용 4
제3절 연구방법 8
1. 분석전략 8
2. 분석모형 11
제4절 연구의 흐름 12
제2장 선행연구 검토 [김성근]
제1절 생활안전환경의 개념과 취약계층 16
1. 생활안전환경의 개념 16
2. 취약계층, 생활안전환경, 그리고 건강 19
제2절 생활안전환경과 건강 25
1. 건강의 정의와 측정에 관한 선행연구 25
2. 생활안전환경과 건강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30
제3절 소결 36
제3장 설문조사의 개관 [김성근]
제1절 설문도구의 설계 42
1. 환경피해요소 - 주거환경 43
2. 환경혜택요소 – 각종 공공 서비스 45
3. 궁극적 정책목표 - 건강 49
4. 인구통계학적 정보 55
제2절 설문조사의 설계 57
1. 설문조사 대상지의 선정 57
2. 설문대상의 선정 66
제4장 설문조사 결과 분석 [김성근]
제1절 생활안전환경 실태 분석 70
1. 취약계층/대조집단의 일반적 특성 분석 70
2. 집단간 특성의 비교 분석 75
제2절 생활안전환경 개선을 위한 요인 분석 96
1. 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97
2. 지역별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 요인 분석 108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김성근]
제1절 연구의 요약 116
제2절 기존 정책현황과 본 연구의 시사점 121
1. 환경 피해요소와 관련한 현 정책의 개요 및 개선 방안 121
2. 환경 혜택요소와 관련한 현 정책의 개요 및 개선 방안 134
3. 개별적 위험 요소 152
제3절 본 연구의 정책제언 154
참고문헌 _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