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행정연구원

전체메뉴

닫기

HOME > 연구자료 > 연구보고서 > 수시협동과제

수시협동과제

기본연구과제 상세보기
미래공공인력의 전략적 양성을 위한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혁신방안 연구
보고서명(영문) -
연구책임자 윤종설 발행기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내부연구참여자 김세진, 이찬주, 정은경 외부연구참여자 이준수, 이태준, 박성민, 김미정, 김웅민
출판년도 2022 수행년도 -
페이지 335 ISBN 979-11-5567-519-9
보고서 유형 협동연구보고서 연구 유형 정책
주제 분류 조직,인사 자료 유형 연구보고서
등록일 2022-03-15 조회수 639
관련 설문조사 -
연관검색어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인재정책   옴니러닝   HRD  
첨부파일

바로보기 다운로드



국문초록

본 연구는 대한민국의 선진국으로서 국제적 위상과 국민적 요구에 부합하는 업무역량을 갖춘 유능한 공무원 육성의 책임과 목적을 가진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이하 :국가인재원)의 운영체제를 진단하여 공무원의 미래대응 역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전략적 혁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있다. 정책환경 변화에 따라 공공인력이 갖추어야 할 필수적 요소인 혁신역량의 효과적 배양을 위해 새로운 패러다임과 전문성에 근거한 교육훈련의 설계 및 실행이 필요한 시대가 도래하였으며, 이 지점에서 우리는 그간 투입과 산출 중심의 정책과 서비스 혁신을 중심으로 전개되어온 정부혁신과 공공부문 인력 관리에 대한 성찰적이고도 미래지향적인 사고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혁신을 위한 공공부문의 역량은 미래의 사회를 책임지는 정책과 연구, 혁신 프로그램을 통해 정부의 책무성과 임무를 완수하는 방향으로 재설계되어야 하며, 정책과정 전반에서 이해관계자들과 사회적 자본을 기반으로 「전환적, 임무지향적」, 「미래예견적」, 「열린정부와 정부신뢰」, 「디지털 정부혁신」의 4가지 방향으로 정부혁신을 추구해야 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를 위해 공공조직은 다양한 정책과 사업을 연계하고, 새로운 기술・산업・지역・글로벌 사회 등과 혁신 네트워크를 동태적으로 구축하고 활용하는 거버넌스로의 변화를 이끌어야 한다. 실제로 OECD는 공공조직의 혁신역량의 효과적 육성을 위한 틀로 OPSI(Observatory of Public Sector Innovation) 공공인력 혁신역량(OECD・EU 공동연구, 2017)에서 제시하고 있는 혁신역량을 기반으로 공무원의 필요역량을 재설계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할 시점임을 강조했다. 시대의 역동적 변화를 능동적으로 감지하고 변화의 흐름을 행정서비스의 축으로 전환하여, 국민들에게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기반으로서의 행정서비스 제시할 역량을 배양할 주체는 바로 국가인재원의 근원적 미션이라고 판단된다.

- 이하 본문 참조 -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정책환경 및 역량분석
제3장 전략방향 설정
제4장 HRD 운영혁신
제5장 거버넌스 협력체계 구축
제6장 조직 및 인사혁신 정책수립
제7장 혁신활동 인센티브
제8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연구책임자의 다른 발간물

기본연구과제의 번호, 제목, 연구책임자, 년도, 전문, 조회수 안내

기본연구과제 목록
제목 연구책임자 년도 전문
포용국가와 혁신경제: 이론, 사례, 이행전략 이종한, 윤종설 2021 바로보기 다운로드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리며 답변이 필요한 의견은 묻고답하기 게시판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담당부서 : 전략기획팀
  • 담당자 : 강예림
  • 문의사항 : 02-2007-0630

맨위로 이동

COPYRIGHT ⓒ 2022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LL RIGHTS RESERVED
(우)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35 대표전화 02)564-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