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행정연구원

전체메뉴

닫기

HOME > 연구자료 > 연구보고서 > 수시협동과제

수시협동과제

기본연구과제 상세보기
지방자치단체 데이터자치권 강화 방안
보고서명(영문) -
연구책임자 이재호 발행기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내부연구참여자 김준형, 정수현 외부연구참여자 임태훈, 이영환, 이종서, 박광동
출판년도 2022 수행년도 -
페이지 178 ISBN 979-11-5567-518-2
보고서 유형 협동연구보고서 연구 유형 정책
주제 분류 재정,예산 자료 유형 연구보고서
등록일 2022-03-16 조회수 792
관련 설문조사 -
연관검색어 데이터자치권   지방자치   정보화센터 광역화  
첨부파일

바로보기 다운로드



국문초록

□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정부는 지방자치와 분권을 강화하기 위해 지방이양일괄법 등 지방으로의 권한을 대폭 이양하였다. 그러나 데이터에 관해서는 여전히 중앙 중심적인 사고로 인해 지방 현장에서 관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데이터 활용사례・제약요인 분석 등을 통해 지방자치단체 데이터 보유 및 활용 권한 강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 데이터 자치권의 이론적 논의
데이터 자치권은 데이터의 생성, 저장, 유통 및 활용에 대하여 지방자치단체가 데이터의 흐름과 공개・비공개 여부, 사용 등을 통제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한다. 광의로는 지방자치단체가 지방 주민에게 적합한 맞춤형 서비스 개발, 제공 등을 위해 데이터 관련 조직권과 재정권을 갖고 운영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지방자치단체의 데이터 자치권의 이론적 근거로는 크게 데이터 관련 오너십으로서의 근거와 지방자치제도의 본질에서 본 근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데이터 관련 오너십으로서의 근거로는 데이터 소유권, 데이터 관리권 또는 통제권, 데이터 자치권 등이 있다. 둘째, 데이터 주권(Sovereignty)이란 자신(자국)의 데이터를 보호하고 사용방법・목적을 결정할 수 있는 권리로, 클라우드(Cloud) 분야에서는 디지털 형식으로 저장된 데이터에 그 저장 장소가 있는 국가의 법률이 적용된다는 개념을 말한다. 셋째, 데이터 자치권은 정보처리능력을 갖춘 장치를 통하여 생성 또는 처리되어 기계에 의한 판독이 가능한 형태로 존재하는 정형 또는 비정형의 정보로, 지방자치단체가 그 지역 내에서 법률(또는 조례)에 의하여 정해진 주민에 대한 공적 지배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데이터 관련 오너십과 지방자치제도의 본질에서 보았을 때 지방자치단체의 데이터 자치권 강화에 대한 제반적인 법적 근거를 「지방자치법」에서 규정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이하 본문 참조 -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데이터자치권 이론과 입법화 방안
제3장 지방자치단체 데이터 활용 및 협업 사례


연구책임자의 다른 발간물

기본연구과제의 번호, 제목, 연구책임자, 년도, 전문, 조회수 안내

기본연구과제 목록
제목 연구책임자 년도 전문
해당 자료가 없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리며 답변이 필요한 의견은 묻고답하기 게시판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담당부서 : 전략기획팀
  • 담당자 : 강예림
  • 문의사항 : 02-2007-0630

맨위로 이동

COPYRIGHT ⓒ 2022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LL RIGHTS RESERVED
(우)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35 대표전화 02)564-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