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행정연구원

전체메뉴

닫기

HOME > 연구자료 > 연구보고서 > 공공리더십연구

공공리더십연구

기본연구과제 상세보기
주요국 국가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체계 연구 : 영국, 프랑스, 일본, 미국, 독일, 중국, 싱가포르
보고서명(영문) Research on the Effective Leadership Training System for the Civil Service in the UK, France, Japan, USA, Germany, China and Singapore
연구책임자 임성근, 안영훈 발행기관 한국행정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소가영 외부연구참여자 안권욱, 이인자
출판년도 2019 수행년도 2019
페이지 347 ISBN -
보고서 유형 공공리더십연구 연구 유형 기초
주제 분류 조직,인사 자료 유형 정책/연구자료
등록일 2020-05-22 조회수 2693
관련 설문조사 -
연관검색어 -  
첨부파일

바로보기 다운로드



국문초록

OECD는 정부부문 교육훈련 보고서(OECD, National Schools of Government:Building Civil Service Capacity, 2017)에서 주요 선진국 사례분석을 통해 공직역량(Competency Management in the Public Service)과 공공리더십 관계를 소개하면서, 고위공무원 리더십 훈련(Senior Civil Service Leadership Training)을 하나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Strategic HRM)를 위한 도구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권고한 바 있다. 그러면서 공공리더십 역량은 굿거버넌스(Good governance, 공익 실현을 위한 효과적인 통치체제)의 중요한 핵심요소를 구성한다고 하였다.
공공부문의 주요 리더들인 고위공무원은 국가와 사회, 정부조직과 관련한 공공기관의 정책목표와 조직 비전의 달성을 위해서 다양한 계층의 실무공무원 핵심역량을 이끌어내서 조직화하는 지도자이자 행정가이며 인적·물적·재정적 자원관리를 위한 고도의 기술력을 필요로 하는 최고경영자이다. 굿거버넌스 실현을 위해서는 공식적인 측면의 공적가치 실현을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실무공직자들의 올바른 공적 행태를 활성화하기 위한 도구적 노력도 필요로 한데 이것이 바로 공직리더십이고, 정책실현을 책임지는 고위공무원들의 공공리더십 역량이라고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목적으로 주요 선진국들의 고위공무원 중심의 공공리더십 교육훈련내용과 교육방법 등을 심도있게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연구대상 국가로 먼저 우리나라 법체계와 더 유사성을 가진 대륙법계 국가에 속하는 프랑스와 독일, 일본을, 그리고 영미법계를 대표하는 영국과 미국, 다시 아시아를 대표하는 중국과 싱가포르의 국가공무원 및 지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이하 원문 확인>

목차

제1부 서설: 연구분석 요약
1. 연구분석체계
2. 공무원의 정의
3. 공무원의 분류
4. 공무원의 인력 추이
5. 채용제도
6. 승진제도
7. 인사평가 및 보직관리
8.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정책 및 배경 법체계 등
9.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기관 및 유형
10.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체계
11. 고위직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12. 고위직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방법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목적
1. 거버넌스와 공직리더십 관계 연구
2. 공직리더십의 특성 이해
3. 공직리더십의 핵심요소 이해
4. 공직리더십 연구의 필요성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1. 국가공무원 인사제도의 특성 이해
2. 국가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체계 이해
1) 고위공무원에 필요한 리더십 역량
2) 고위공무원 역량 강화를 위한 리더십 교육훈련기관 이해
3) 고위공무원 역량 강화를 위한 리더십 교육훈련 운영체계 분석
제3절 연구의 대상 및 방법

제2부 단일국가 공공리더십 운영체계 분석
제2장 영국 국가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체계
제1절 국가공무원의 범위와 인사제도
1. 공무원의 정의와 범위
1) 공무원의 정의
2) 공무원의 분류
3) 공무원의 인력 현황
2. 국가공무원 인사제도
1) 채용제도
2) 승진제도
3) 승진 및 전보 관리제도
제2절 국가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제도
1.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정책 개요
1) 리더십 인적자원관리 정책의 목표
2)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의 유형
3)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기관
2.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체계
1) 리더십 교육훈련 시행체계
2) 리더십 교육훈련의 공통적 기본방법
3.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내용
1) 공통교육훈련 프로그램
2) 리더십 중심 교육훈련 프로그램
3) 공공부문 고위관리층을 위한 5일 리더십 프로그램
제3절 소결: 영국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시사점
1. 리더십 프로그램 내용 관련 시사점
2. 리더십 교육훈련 지원체계 관련 시사점

제3장 프랑스 국가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체계
제1절 국가공무원의 범위와 인사제도
1. 공무원의 정의와 범위
1) 공무원법 및 공무원 정의와 범위
2) 공무원의 분류
3) 공무원의 인력 현황
2. 국가공무원의 인사제도
1) 채용제도
2) 승진제도
3) 인사평가제도
4) 보수제도
5) 보직관리
제2절 국가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제도
1.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정책 개요
1)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개요
2)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의 유형
3)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주무부처와 교육훈련기관
2.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체계
1) 지역공무원학교(IRA)의 교육훈련체계
2) 국립행정학교(ENA)의 교육훈련체계
3.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내용
1) 일반직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2) ENA의 리더십 중심 교육훈련 프로그램
3) 기타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제3절 소결: 프랑스 국가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시사점
1. 리더십 프로그램 내용 관련 시사점
2. 리더십 교육훈련 지원체계 관련 시사점

제4장 일본 국가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체계
제1절 국가공무원의 범위와 인사제도
1. 공무원의 정의와 범위
1) 공무원의 정의
2) 공무원의 분류
3) 공무원의 인력현황 및 추이
2. 국가공무원 인사제도
1) 채용제도
2) 승진제도
3) 인사평가제도
4) 보수제도
5) 보직관리
제2절 국가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제도
1.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개요
1)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역사와 법적 근거
2)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의 유형
3)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주무부처와 교육훈련기관
2.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체계
1)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대상 선발
2)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기관별 프로그램 운영 체계
3.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내용
1) 일반직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2) 고위직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3) 기타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제3절 소결: 일본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시사점
1. 일본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내용의 시사점
2. 일본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지원체계의 시사점

제3부 연방국가 공공리더십 운영체계 분석
제5장 미국 연방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체계
제1절 연방공무원의 범위와 인사제도
1. 공무원의 정의와 범위
1) 공무원법 및 공무원의 정의
2) 공무원의 분류
3) 공무원의 인력현황 및 추이
2. 연방공무원의 인사제도
1) 채용제도
2) 승진제도
3) 인사평가제도
4) 보수제도
제2절 연방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제도
1.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정책 개요
1)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개요
2)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유형
3)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주무부처와 교육훈련기관
2.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체계
1)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2)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체계
3.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내용
1) 일반직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2) 고위직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3) 고위직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방법
제3절 소결: 미국 연방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시사점
1. 리더십 프로그램 내용 관련 시사점
2. 리더십 교육훈련 지원체계 관련 시사점

제6장 독일 연방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체계
제1절 국가공무원의 범위와 인사제도
1. 공무원의 정의와 범위
1) 공무원의 정의
2) 공무원의 분류
3) 공무원의 인력현황 및 추이
2. 국가공무원 인사제도
1) 채용제도
2) 승진제도
3) 인사평가제도
4) 보수제도
5) 보직관리
제2절 국가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제도
1.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개요
1)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역사와 법적 근거
2)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의 유형
3)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주무부처와 교육훈련기관
2.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체계
1)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대상, 선발
2)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기관별 프로그램 운영체계
3.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내용
1) 세분화된 교육주제에 교육대상자의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 구성
2) 지휘(Führung) 교육훈련 프로그램
3) 고위직・최고위직 지휘 교육훈련 프로그램
4) 소통・협력 교육훈련 프로그램
5) 리더 자기개발(Selbstentwicklung) 교육훈련 프로그램
제3절 소결: 독일 국가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시사점
1. 공무원 유형별 리더십 프로그램 내용 관련 시사점
1) 리더십 교육의 내용상 다양화・세분화
2) 공무원(교육대상자) 유형별 다양화
2. 공무원 유형별 리더십 교육훈련 지원체계 관련 시사점

제4부 아시아국가 공공리더십 실태조사
제7장 중국 국가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체계
제1절 국가공무원의 범위와 인사제도
1. 공무원 정의 및 인사제도
1) 공무원의 정의와 범위
2) 공무원의 분류
3) 공무원의 인력 현황
2. 국가공무원 인사제도
1) 모집제도
2) 승진제도
3) 인사평가제도
4) 급여제도
5) 직위관리
제2절 국가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제도
1. 중국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현황
1)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개요
2)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유형
3)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관리 및 훈련기관
2.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체계
1)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의 목표 및 선택
2)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기관과 운영체계
3.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과정 및 내용
1) 이데올로기 교육훈련
2) 당사자의 기본 이론 교육훈련
3) 당성교육 및 훈련
4) 전문화 능력 교육훈련
5) 지식교육훈련
제3절 소결: 중국 국가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시사점
1. 중국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개발동향
2. 중국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시사점

제8장 싱가포르 국가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실태
제1절 국가공무원의 범위와 인사제도
1. 공무원의 정의와 범위
1) 공무원의 정의
2) 공무원의 분류(일반직/고위직)
3) 공무원의 인력현황 및 추이
2. 국가공무원 인사제도
1) 채용제도
2) 승진제도
3) 인사평가제도
4) 보수제도
5) 보직관리
제2절 국가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제도
1.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개요
1)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역사와 법적 근거
2)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의 유형
3)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기관
2.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체계
3.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내용
1) CSC의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2) 고위직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제3절 소결: 싱가포르 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시사점
1. 공무원 유형별 리더십 프로그램 내용 관련 시사점
2. 공무원 유형별 리더십 교육훈련 지원체계 관련 시사점

제9장 결론: 주요국 리더십 교육훈련체계 비교 및 시사점
1. 주요국 국가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체계 비교
1) 고위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의 공동목표
2) 고위공무원 인사제도 비교 시사점
3) 고위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체계 시사점
2. 주요국 국가공무원 리더십 교육훈련 방법
3. 공익가치 실현을 위한 공직리더십 교육훈련의 목적

참고문헌

 


연구책임자의 다른 발간물

기본연구과제의 번호, 제목, 연구책임자, 년도, 전문, 조회수 안내

기본연구과제 목록
제목 연구책임자 년도 전문
해당 자료가 없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리며 답변이 필요한 의견은 묻고답하기 게시판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담당부서 : 공공리더십ㆍ갈등관리연구실
  • 담당자 : 나지석
  • 문의사항 : 02-2007-0563

맨위로 이동

COPYRIGHT ⓒ 2022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LL RIGHTS RESERVED
(우)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35 대표전화 02)564-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