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행정연구원

전체메뉴

닫기

HOME > 연구자료 > 연구보고서 > 수시연구과제

수시연구과제

기본연구과제 상세보기
정부인수위원회 역할과 기능에 관한 연구: 1993~2017년
보고서명(영문) -
연구책임자 김정해 발행기관 한국행정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정소윤, 이사빈, 윤태원 외부연구참여자 김윤승
출판년도 2021 수행년도 2021
페이지 292 ISBN -
보고서 유형 수시연구보고서 연구 유형 정책
주제 분류 조직,인사 자료 유형 연구보고서
등록일 2022-02-16 조회수 919
관련 설문조사 -
연관검색어 정부인수위원회   인수위원회 기능   인수위원회  
첨부파일

바로보기 다운로드



국문초록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대통령의 임기
- 우리나라와 미국은 대통령제 국가로 선거를 통해 대통령을 선출하게 됨
- 대통령은 군 통수권자이며 행정의 수반으로서 국가를 대표하는 최고 의사결정자 임(헌법 66조)
 
제66조 ①대통령은 국가의 원수이며, 외국에 대하여 국가를 대표한다.
          ②대통령은 국가의 독립·영토의 보전·국가의 계속성과 헌법을 수호할 책무를 진다.
          ③대통령은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위한 성실한 의무를 진다.
          ④행정권은 대통령을 수반으로 하는 정부에 속한다.
자료: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헌법 참조

- 또한 대통령의 임기는 5년으로 제한되어 있고 단임제로 정해져 있음(헌법 70조)
- 대통령의 임기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정권 초기에는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지만 임기 말로 갈수록 대통령의 영향력이 쇠퇴하는 현상이 발생함(레임덕)
- 우리의 경우 헌법 68조에 따르면, 대통령의 임기가 만료되는 때에는 임기만료 70 일 내지 40일전에 후임자를 선거하도록  되어 있으며 선거 결과에 따라
  현직 대통 령은 후임 대통령당선자를 위해 정부인수인계 작업을 수행하여야 함

<이하 본문 참조>

목차

제1장 서 론
제 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연구목적 및 내용
제2절 연구방법

제2장 이론적 논의
제1절 정권인수기의 정의와 특징
1. 정권인수기의 정의
2. 정권인수기의 특징
제2절 정권인수기 전략적 대통령직 수행의 필요성과 원인
1. 정권인수기 전략적 대통령직 수행의 필요성
2. 정권인수기 전략적 대통령직 수행이 필요한 원인
제3절 정권인수기 전략적 대통령직 수행 및 조직화 전략
1. 정권인수기 전략적 대통령직 수행 전략
2. 정권인수기 전략적 대통령직 수행을 위한 조직화 전략
제4절 정권인수기 전략적 대통령직 수행을 위한 기능과 역할
1. 정권 인수인계를 위한 시기별 주요 활동과 기능
2. 정권 인수인계에 필요한 주요 핵심기능과 책임
3. 정권인수기 새 정부 정책과 관리혁신 과제의 우선순위 및 결정
제5절 연구 흐름도 및 분석기준

제3장 한국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사례
제1절 14대 정부: 김영삼 대통령
1. 설치 시기와 근거
2. 인적구성 및 조직도
3. 주요 활동
4. 운영 및 예산
제2절 15대 정부: 김대중 대통령
1. 설치 시기와 근거
2. 인적구성 및 조직도
3. 주요 활동
4. 운영 및 예산
제3절 16대 정부: 노무현 대통령
1. 설치 시기와 근거
2. 인적구성 및 조직도
3. 주요 활동
4. 운영 및 예산
제4절 17대 정부: 이명박 대통령
1. 설치 시기와 근거
2. 인적구성 및 조직도
3. 주요 활동
4. 운영 및 예산
제5절 18대 정부: 박근혜 대통령
1. 설치 시기와 근거
2. 인적구성 및 조직도
3. 주요 활동
4. 운영 및 예산
제6절 19대 정부: 문재인 대통령
1. 설치 시기와 근거
2. 인적구성 및 조직도
3. 주요 활동
4. 운영 및 예산
제7절 소결

제4장 미국 인수위원회 사례
제1절 미국 정부 인수위원회 관련 법률 및 행정명령
1. 대통령직 인수법
2. 대통령직 인수의 효율화를 위한 법
3. 대통령직 인수법
4. 대통령직 인수 촉진을 위한 행정부명령
5. 선거 전 대통령직 인수법 제정
6. 대통령직 인수 개선을 위한 법
7. 대통령직 인수 강화를 위한 법
제2절 인수위원회의 조직구조 및 기능
1. 카터 대통령
2. 레이건 대통령
3. 조지 H. W. 부시 대통령
4. 클린턴 대통령
5. 조지 W. 부시 대통령
6. 오바마 대통령
7. 트럼프 대통령
8. 바이든 대통령
제3절 미국 사례 종합 비교 및 시사점
1. 종합 비교
2. 미국 사례의 시사점

제5장 한국의 인수위원회 조직과 운영에 대한 평가와 진단
제1절 개요
1. 평가 및 진단 방법
2. 평가 및 진단 기준
제2절 투입
1. 조직
2. 예산
제3절 과정
1. 권한
2. 의사결정과정 및 업무수행 과정
3. 대외관계
제4절 산출
1. 새정부 정책기조 설정
2. 국민의견 수렴 및 대화
3. 새정부 출범준비
제5절 결과
1. 활동의 효과성
2. 대통령 지지도
3. 국정운영평가
제6절 요약 및 시사점

제6장 전략적 대통령직 인수를 위한 운영개선 가이드
제1절 개요
제2절 사전준비 단계
1. 사전준비 조직의 구성
2. 사전준비 조직의 인사
3. 사전준비 조직의 당선 후 정책실행 전략 준비
제3절 인수 단계
1.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구성
2. 새정부 국정기조 및 국정아젠다 마련
제4절 취임 이후 단계
1. 정부조직 개편
2. 대통령 인사
제5절 현직 대통령과 정부의 대통령직 인수에 대한 협력

제7장 결론
 


연구책임자의 다른 발간물

기본연구과제의 번호, 제목, 연구책임자, 년도, 전문, 조회수 안내

기본연구과제 목록
제목 연구책임자 년도 전문
민첩하고 유연한 정부 구현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김정해 2023 바로보기 다운로드
정부3.0 민관협업 우수사례 연구 김윤권, 김정해, 임성근, 윤선영, 권경환 2016 바로보기 다운로드
정부3.0 10대 중점 추진과제 매뉴얼 작성 김정해 2013 바로보기 다운로드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리며 답변이 필요한 의견은 묻고답하기 게시판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담당부서 : 전략기획팀
  • 담당자 : 강예림
  • 문의사항 : 02-2007-0630

맨위로 이동

COPYRIGHT ⓒ 2022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LL RIGHTS RESERVED
(우)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35 대표전화 02)564-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