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 이주의 글로벌화에 따른 장기체류 외국인의 증가 양상
○ OECD 국가 내 인구 10명 중 1명꼴은 이민자/외국인이 차지(Tharaux & Kuby, 2022)
○ OECD 25개 회원국가 대상 분석결과, 이민자/외국인들은 이주 수용국에 이들이 사용하는 공공 서비스보다 더욱 많은 경제적 기여를 하는 대상(OECD, 2021a)
- 이민자/외국인이 지출한 세금 등 경제적 기여(2조 5천억 달러, ‘17년 기준) 〉 이민자/외국인을 위해 이주 수용국이 제공한 공공 서비스 비용(2조 억 달러, 동년 기준, <그림 1-1> 참조)
□ 체류 외국인이 뿌리내리고 살아가는 공간은 “지역”이며, 외국인/이민자의 지역사회 통합을 위해 지역 차원의 역할이 중요
○ 그러나 외국인/이민자를 “받아들일 수 없다”라는 부정적인 인식은 ’18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음(’18년(5.7%) → ’21년(12.9%) 사회통합실태조사, <그림 1-2> 참조)
- 외국인 주민 수 지속 증가추세와 함께 생산가능 인구감소에 대응한 적극적 이민 정책 전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외국인 주민들이 지역사회와 분리되는 현상이 고착화되는 경우 향후 강력한 사회통합 위해 요소로 작용할 우려
<이하 본문 참조>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제3절 연구설계
제2장 외국인 주민의 유형과 특성
제1절 “외국인 주민” 개념 관련 정립 및 연관 용어 간 비교
제2절 외국인 주민 유형 및 특징 분석
제3절 지역별 외국인 주민 관련 정책 추진체계
제4절 지자체 외국인 주민 정책추진: 성과와 한계
제3장 외국인 주민의 지역사회 통합수준 평가
제1절 외국인 주민 관련 갈등 현안: 갈등구조 및 발생 영역 분석
제2절 외국인 주민의 사회적응/통합수준의 측정·평가 방법
제3절 외국인 주민의 지역사회 통합수준 진단
제4절 기존 측정·평가방법의 한계 및 개선 요소
제4장 전문가 및 현장활동가 대상 FGI 결과 분석
제1절 전문가 및 현장활동가 대상 FGI 조사 개요
제2절 지역사회 체류 외국인 통합을 위한 개선방안 모색 및 도출
제3절 지역사회 외국인 통합수준 측정·평가 개선방안
제5장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외국인 주민 정책 모델
제1절 외국인 주민의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방법론
제2절 외국인 주민의 지역사회 통합수준의 평가 및 관리방안
기본연구과제의 번호, 제목, 연구책임자, 년도, 전문, 조회수 안내
기본연구과제 목록
제목 |
연구책임자 |
년도 |
전문 |
해당 자료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