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행정연구원

전체메뉴

닫기

HOME > 연구자료 > 연구보고서 > 수시연구과제

수시연구과제

기본연구과제 상세보기
규제샌드박스 제도 수요자 체감도 조사
보고서명(영문) -
연구책임자 이종한 발행기관 한국행정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김성부, 배정윤, 심우현, 안혁근, 원소연, 이민호, 임현철, 홍승헌 외부연구참여자 -
출판년도 2022 수행년도 2022
페이지 148 ISBN -
보고서 유형 수시연구보고서 연구 유형 정책
주제 분류 규제 자료 유형 연구보고서
등록일 2023-03-20 조회수 612
관련 설문조사 -
연관검색어 규제샌드박스   규제완화   경제 활성화   신산업 규제개선  
첨부파일

바로보기 다운로드



국문초록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정부는 2019년 규제샌드박스 제도 도입 이후 핵심적인 규제혁신제도로서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 정부의 국정과제인 신기술·신산업 분야의 규제개선방안 마련과 관련해, 2017년 12월에 규제샌드박스 도입을 발표하였으며, 2019년 1월에 정보통신융합(ICT) 및 산업융합 분야를 시작으로, 2019년 4월에 혁신금융 및 규제자유특구를 포함하여 3개 업역과 1개 지역 중심의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추진하였다(이민호 외. 2021: 3). 

 2019년 1월부터 2022년 12월 현재까지, 총 767건의 규제샌드박스 과제가 승인되었다. 기존의 정보통신융합, 산업융합, 혁신금융, 규제자유특구 4개 분야 외에 2020년 2월 ‘스마트도시법’ 개정과 같은 해 12월 ‘연구개발특구법’을 개정하여 스마트도시와 연구개발특구까지 적용범위를 확대하였다. 현재까지 규제특례 유형별로 ICT융합 156건, 산업융합 253건, 금융혁신 232건, 지역특구 80건, 스마트도시 39건, 연구개발특구 7건이 승인되었다. 영국 등 규제샌드박스를 먼저 적용한 국가들에서 주로 혁신금융을 중심으로 한정된 제도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에 비해, 이른바 한국형 규제샌드박스에서는 다양한 실물경제에 대한 부분도 포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상적 규제혁신제도로서의 활용도가 높다고 평가된다(이민호 외. 2021: 3). 

<이하 본문 참조>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제2장 규제샌드박스 인지도 조사
제1절 인지도 조사의 개요
제2절 인지도 조사 분석 결과
제3절 소결

제3장 규제샌드박스 만족도 조사
제1절 만족도 조사의 개요
제2절 만족도 조사 분석 결과
제3절 규제샌드박스 제도 개선 의견
제4절 소결

제4장 규제샌드박스 승인 기업 심층 인터뷰 조사
제1절 규제샌드박스 제도개선을 위한 승인기업 심층 인터뷰
제2절 소결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제1절 분석결과 요약
제2절 정책적 시사점


연구책임자의 다른 발간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리며 답변이 필요한 의견은 묻고답하기 게시판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담당부서 : 전략기획팀
  • 담당자 : 강예림
  • 문의사항 : 02-2007-0630

맨위로 이동

COPYRIGHT ⓒ 2022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LL RIGHTS RESERVED
(우)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35 대표전화 02)564-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