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연구의 개요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 2 절 연구의 방법 및 기대효과
제 2 장 전자정부와 e-서비스의 발전에 대한 배경 논의
제 1 절 전자정부 추진의 의의
제 2 절 e-서비스의 발전
1. 국내 전자정부 e-서비스의 주요 사례 및 현황
2. 지방자치단체의 전자정부 e-서비스 현황
제 3 장 e-서비스의 성과분석 기법에 대한 이론적 논의 및 분석모형
제 1 절 공공서비스 성과분석에 관한 이론적 논의
1. 공공서비스 및 성과의 의의
2. 성과평가의 의의 및 체계
3. 성과평가의 기준 및 차원
4. 성과평가의 방법
제 2 절 통합적 성과분석의 의의
1. 효율성 측정기법으로서의 DEA
2. 효과성 측정기법으로서의 e-SERVQUAL
제 3 절 통합적 성과측정을 위한 지표설정 및 분석틀의 구성
1. DEA 분석을 위한 측정지표
2. e-SERVQUAL 분석을 위한 측정지표
3. 통합적 분석모형
제 4 장 성과분석기법의 적용 사례: 자치단체의 e-서비스 성과 측정 및 분석
제 1 절 연구분석의 설계 및 개요
제 2 절 e-SERVQUAL 분석결과
1. 분석요인의 구성
2. e-서비스 이용 분석
3. e-SERVQUAL 만족도 분석
4. 시군별 서비스 질 측정결과
제 3 절 자료포락분석(DEA) 결과
1. 투입 및 산출요소의 측정
2. DEA 분석결과
제 4 절 e-서비스 성과의 통합적 분석 및 해석
제 5 절 분석결과의 종합적 함의
제 5 장 e-서비스 성과분석 기법의 활용 방안 및 시사점
제 1 절 e-서비스 성과의 통합분석기법 적용방안
1. e-SERVQUAL 기법
2. 자료포락분석(DEA) 기법
3. 통합적 분석기법
제 2 절 정책적 함의 및 시사점
제 6 장 결 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