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연구의 취지
글로벌 경쟁시대 경쟁력과 생산성을 갖춘 공직사회가 요청되고 있다. 꾸준히 진행된 행정개혁 또는 정부혁신으로 공직사회도 혁신 인프라 구축, 행정내부 프로세스 개선, 고객지향 행정 서비스 향상 등 많은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경쟁시대에 공직사회는 신분보장에 따른 무사안일, 무능함과 도덕적 해이의 문제를 여전히 안고 있으며, 공직사회의 비생산성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이 깊은 상황에서 공무원 사회에 실질적인 경쟁 시스템을 도입하여 공직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는 공직경쟁력을 저하시켜 결국 국민에 대한 행정서비스의 질을 떨어뜨리는 저성과자 공무원에 대한 관리제도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체계는 다음과 같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3절 연구의 체계
제2장 저성과자에 관한 이론적 연구
제1절 국가경쟁력과 인적자원관리
1. 국가경쟁력과 공직경쟁력 및 공직전문성
2. 인적자원관리의 패러다임 변화
3. 현행 성과주의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제도적 운영
제2절 저성과자에 관한 이론 및 선행연구
1. 행정의 질과 저성과자
2. 저성과자의 의의
3. 저성과자의 요인
4. 저성과자의 유형
5. 저성과자의 파급효과
제3절 본 연구의 분석 틀
제3장 저성과자의 제도적?인식적 분석
제1절 저성과자의 현황
1. 민간부문의 저성과자 현황
2. 공공부문의 저성과자 현황
제2절 저성과자의 제도론적 분석
1. 저성과자 관련 조직 분석
2. 저성과자 관련 인사제도 분석
3. 저성과자 관련 법령 분석
제3절 저성과자에 관한 인식조사
1. 조사 설계
2. 설문조사 및 결과분석
3. 인식조사 요약
제4장 저성과자 관리제도의 활성화 방안
제1절 저성과자의 관리 방안
1. 저성과자 관리의 필요성
2. 조직에서 성과문제의 탐색
3. 저성과자 관리의 접근방법
4. 저성과자 관리방안 고려 사항
5. 저성과자 관리의 구체적 방안
제2절 저성과자의 역량 강화
1. 저성과자 역량강화의 의의
2. 저성과자에 관한 이론적 ? 경험적 역량 강화 방안
3. 저성과자에 관한 인식적 역량강화 방안
제3절 저성과자의 퇴출 방안
1. 저성과자 퇴출의 의의
2. 저성과자에 관한 이론적 ? 경험적 퇴출방안
3. 저성과자에 관한 인식적 퇴출방안
제4절 융합적 조직관리 방안
제5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결론
제2절 제언
1. 이론적 제언
2. 실무적 제언
3. 제도적 제언
4.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