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연구목적과 방법
이 연구는 전세계적으로 정부혁신의 중요한 부분으로 추진되어 온 인사제도의 개혁이 과연 공무원들의 사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각 정책들의 수정이 필요한지와 현 시점에서 공무원들이 활기차게 일할 수 있는 공무원 사기의 진작 방안은 무엇인지를 살펴본 것이다.
이 연구는 ① 정부 인사혁신의 근간인 신공공관리론에 대한 이론적 검토, ② 사기에 대한 이론적 검토, ③ 주요 인사혁신 제도들에 대한 공무원들의 인식수준을 점검하고, ④ 공무원들의 사기수준과 사기에 미치는 영향요인 등을 실증조사를 통하여 파악하여, ⑤ 현 정부에 필요한 공무원 사기의 진작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방법은, 먼저 선행연구 분석 및 분석틀을 작성하기 위한 문헌연구와, 정부 중앙부처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심층면접 등 실증적인 연구방법이며, 조사결과의 분석과정에서 인사행정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하여, 학계의 의견을 취합하여 활용하였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3절 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이론적 논의와 분석들
제1절 정부 인사개혁의 이론적 기초 분석
1. 신공공관리론 도입과 인사개혁
2. 신공공관리론의 이론적 기반
3. 신공공관리론의 주요 내용
4. 우리나라의 도입에 대한 문제점 분석
5. 신공공관리론과 인사개혁의 주요 내용
제2절 사기에 관한 이론적 논의
1. 사기의 의의
2. 사기에 관한 제이론
3. 사기의 선행연구 분석 및 결정요인
제3절 연구의 분석틀
제3장 실증분석
제1절 조사설계 및 방법
1. 연구변수 설정
2. 조사표본 선정 및 특성
3. 분석방법
제2절 설문조사 결과분석
1. 설문조사 결과
2. 주요 인사혁신 방안들에 대한 인식 분석
3. 사기수준에 관한 인식
4. 직무동기에 관한 인식
제3절 분석의 함의
1. 분석의 요약
2. 집단별 분석과 함의
제4장 정부 공무원 사기 대책의 현황과 과제
제1절 정부의 사기제고 정책 현황
1. 5급 공무원 대통령 임명장 수여(2009.11)
2. 사기진작을 위한 종합적 대책 준비(2010.5)
3. 여성공무원 근무여건 개선 추진(2010. 7)
4. 유연한 근무시스템 도입(2010. 8)
5. 실무공무원 인사제도 개선방안(2010. 8)
6. 국가?지방공무원 6급 근속승진 확대(2010.11)
제2절 정부 공무원 사기 제고 대책에 대한 평가와 제언
1. 정부 사기제고 정책 평가
2. 인사환경의 변화에 따른 공무원 사기제고 방향 모색
제5장 공무원 사기제고 방안
제1절 공무원 사기제고 방향 제시
1. 개인적 차원 -- 인식의 전환
2. 조직적 차원 -- 정부의 대응
3. 제도적 차원 -- 인사개혁의 지속적 추진
제2절 공무원 사기 제고를 위한 분야별 대안 모색
1. 실증분석의 함의
2. 분야별 사기 제고 대책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