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연구의 목적과 방법
이 연구는 실질적으로는 사소할 수 있는 위험이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정치화되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위해 수행되었다. 첫째, 어떤 위험이나 사건이 위험신호(risk signal)가 될 가능성이 높은지를 밝힌다. 둘째, 언론을 중심으로 한 위험정보 소통이 어떠한 형태를 띠고 있고 위험을 다루는 언론의 프레임이 정치화되는 과정을 확인한다. 셋째, 어떤 위험이 사회적으로 확산되어 정치화된 경우에 위험관리자(정부 혹은 기업)의 일반적인 자세는 무엇이고, 이에 대한 적절한 비난회피(blaming avoidance) 전략은 어떤 형태를 띠고 있는지 알아본다. 넷째, 위험의 사회적 확산 과정을 거쳐 낙인화된(stigmatized) 위험의 특징과 동태적 변화 양상을 확인한다. 다섯째, 위험의 정치화 과정과 사회적 확산 현상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기조와 제도화 방안을 다룬다.
위에 제시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첫째, 문헌 분석, 인터뷰, 공동 연구진의 활용하여, 위험의 사회적 확산 및 정치화에 대한 전반적 이론 분석을 수행한다. 둘째, 위험의 사회적 확산에 대한 국내외 대표 사례를 선정하여 연구의 분석틀에 따른 분석을 수행한다. 대표적 사례로 선정한 것은 우리나라와의 시사점 비교를 위한 영국의 광우병 사태, 그리고 최신 사례로서 미국의 토요타 자동차 사례를 선정하였다. 이와 함께, 영국 MMR 예방접종 사례를 다루었다. 셋째, 우리 국민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위험요소에 대한 위험지각의 수준 및 위험신호로서의 특성 확인을 위한 설문 문항을 마련하여, 광범위한 대국민 설문조사를 수행한다. 특히 위험의 사회적 확산 결과 및 국민들의 불안감 수준에 대한 종단적 설문을 포함하여 본 연구가 우리 국민들의 불안감의 추이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주요 일간지와 TV 방송 뉴스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위험의 사회적 확산 과정에 대한 동태적 분석을 수행한다. 대표 사례로 2008년 광우병(미국산 쇠고기 수입) 사태와 2009년 신종플루 사태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비교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2. 연구의 목적과 기대 효과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1. 연구의 내용
2. 연구의 범위와 분석틀
3. 연구의 방법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정치적 과정의 맥락
1. 정치와 정치화
2. 탈정치화 현상과 비공식적 정치참여의 증가
3. 위험사회에서의 정치화
제2절 위험의 사회적 확산 이론
1. 위험의 사회적 확산 이론 개요
2. 위험신호(Risk Signal)
3. 위험의 사회적 확산 과정
4. 물결효과(rippling)와 낙인화(stigmatization)
제3절 미디어 관련 이론
1. 프레이밍 이론의 소개 및 주요 개념
2. 언론을 이용한 소통전략 - 예방접종이론
제4절 효과적 위험 소통 및 위기대응 전략 이론
1. 위험분석 - 위험지각 - 위험소통 관련 일반 이론
2. 위기 상황에서의 위험관리자의 대응 전략
제3장 해외 사례 연구
제1절 사례 분석의 틀
제2절 영국광우병 사례
1. 사례의 개요
2. 광우병 위험의 특성
3. 위험의 사회적 확산 1단계(1986년 11월 - 1996년 3월)
4. 사회적 확산의 피크(1996년 3월 이후)와 타분야로 확산 (ripple effect)
5. 영국 광우병 사례의 시사점
제3절 미국 토요타 자동차 사례
1. 사례의 개요
2. 자동차 급가속 위험의 특성
3. 위험의 사회적 확산
4. 토요타 자동차 사례의 시사점
제4절 기타 사례 - 영국 MMR 백신 사례
1. 사례의 개요
2. 백신 위험의 특성
3. 위험의 사회적 확산 1단계
4. 위험의 사회적 확산 2단계
5. MMR백신 사례의 시사점
제4장 연구 설계
제1절 주요 연구의 설계
1. 설문 분석
2. 미디어 분석 및 정부 대응 분석
제2절 설문 문항과 방법
1. 위험의 분류와 설문 분석틀
2. 설문 문항
3. 설문 조사의 방법
제3절 미디어 분석 방법과 항목
1. 분석 대상
2. 측정 항목 정의(Variables)
3. 코더 훈련·분석 및 검증
제5장 위험의 사회적 확산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
제1절 위험지각과 위험신호
1. 한국인의 2010년 위험지각 및 가치관의 특성
2. 한국인의 위험인식 특성과 위험신호
제2절 위험의 사회적 확산과 미디어
1. 분석 대상 사례의 개요
2. 기본적 미디어 분석 - 기사에 대한 총량적 분석
3. 언론의 프레임과 위험의 사회적 확산
4. 예방접종(inoculation)이론의 적용
제3절 위험의 사회적 확산과 낙인화
1. 미국산 쇠고기 구매 의사의 변화와 정치적 성향
2. 미국산 쇠고기 구매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종합적 분석
3. 미국산 쇠고기 구매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종단적 분석
제6장 요약 및 정책 제안
제1절 정책적 함의에 따른 정책 제언
1. 환경적 요소 - 신로의 하락과 중재자의 부재
2. 국민들의 위험특성 인식과 위험신호
3. 위기(위험의 사회적 확산)시의 효과적 소통전략
4. 위기 시 효과적 비난회피 전략과 사후 관리
제2절 국가 사회위험 관리를 위한 위험소통전략
1. 효과적인 대언론 전략 가이드라인
2. 국가 사회위험 관리 시스템의 구축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