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랑스의 공공갈등관리 법·제도의 주요내용
2. 프랑스의 공공갈등관리 기구 운영실태
제3절 영국의 공공갈등관리제도의 주요내용 및 특징
1. 영국의 공공갈등관리 제도의 주요내용
2. 영국의 공공갈등관리 기구 운영실태
3. 영국 공공갈등관리제도의 주요 특징
제4절 갈등관리제도의 국제비교 및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1. 갈등관리제도의 국제비교: 미국, 프랑스, 영국, 한국
2.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제5장 중앙정부의 공공갈등관리에 대한 설문분석
제1절 공공갈등관리 인식조사를 위한 조사설계
1. 설문조사 조사설계 및 분석기법
2. 조사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제2절 공공갈등 전반 및 운영실태에 대한 인식분석
1. 갈등유형별 공공갈등의 수준에 대한 인식분석
2. 갈등당사자별 공공갈등의 수준에 대한 인식분석
3. 갈등성격별 공공갈등의 수준에 대한 인식분석
4. 공공갈등의 발생 원인에 대한 인식분석
5. 공공갈등의 예방과 해결을 위한 정부역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분석
6. 공공갈등수준의 현재와 미래의 변화분석
7. 공공갈등관리 운영실태에 대한 인식분석
제3절 공공갈등관리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공공갈등관리 운영에 대한 인식분석
2. 공공갈등관리 규정의 실효성에 대한 인식분석
3. 새로운 공공갈등관리 법률의 필요성
4. 현재와 미래의 갈등해결방식 비교분석
5. 공공갈등의 예방 및 해결을 위한 주요주체에 대한 인식분석
6. 공공갈등의 효과적 관리방안에 대한 인식분석
제4절 공공갈등 해결의 영향요인 및 효과분석
1. 공공갈등 해결의 영향요인 변수들의 신뢰도 분석
2. 공공갈등 해결의 영향요인 관련 변수들의 요인분석
3. 공공갈등의 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4. 공공갈등 해결에 관한 연구가설 검증 및 효과분석
제5절 소결론
제6장 효과적인 공공갈등관리를 위한 개선방안
제1절 제도적 측면의 공공갈등관리 개선방안
1. 「갈등관리기본법(가칭)」의 제정 필요
2. 주민참여제도 활성화 방안 필요
3. 공공토론기구의 도입 여부 검토 필요
4. '갈등관리지원센터' 필요
제2절 운영적 ?면의 공공갈등관리 개선방안
1. 갈등관리심의위원회 위상제고 및 운영의 내실화
2. 갈등영향분석의 내실화와 탄력적 운영 필요
3. 부처의 특성이 반영된 갈등관리 매뉴얼 구축 및 활용필요
4. 통합적인 갈등관리 전담조직 필요
5. 고질적인 갈등요인의 지속적인 관리 필요
6. 갈등특성별 차별화된 갈등관리 방식의 활용 필요
7. 갈등해결 난이도에 따른 갈등관리 전략 필요
8. 갈등 우수 성공 사례 보급을 통한 학습과 인식 확산 필요
제3절 역량적 측면의 공공갈등관리 개선방안
1. 공무원의 갈등교육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필요
2. 갈등 전문인력 양성 필요
3. 대안적 갈등해결방식의 적극적 활용 필요
4. 저비용·고효율 갈등관리 시스템 구축 필요
제4절 환경적 측면의 공공갈등관리 개선방안
1. 장기적인 갈등관리 계획 필요
2. 참여 거버넌스의 확립
3. 소통, 신뢰 등 사회적 자본 확충 필요
4. 협상문화의 구축 필요
제7장 결론 : 요약 및 정책제언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제2절 개선방안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