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00의의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1. 연구범위
2. 연구방법
제3절 연구의 흐름도
제4절 기대효과
제2장 이론적 고찰
제1절 재난관리의 의의
1. 재난의 개념과 유형
2. 재난관리와 패러다임변화
3. 재난관리의 접근체계(분산형/통합형)
제2절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 이론
1. 재난관리조직의 기본방향
2.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조직의 의의
3.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의 역할
4. 재난관리 조직간 관계
제3절 조직진단 및 평가이론
1. 조직진단의 의의
2. 주요 조직진단모형 이론
3. 조직진단의 일반적 절차 및 점검
제4절 선행연구 분석
1. 재난관리이론의 연구경향
2. 조직진단이론의 연구경향
3. 선행연구의 분석
제5절 지자체 재난관리조직의 진단평가모형 구축
1. 모형구축의 기본방향과 원칙 및 기준
2. 평가기준 선정의 이론적 논의
3. 진단평가의 핵심요인 도출
4. 진단평가모형 구축
제3장 주요국 재난관리체계와 시사점
제1절 미국의 재난관리체계
1. 재난관리조직체계
2. 연방정부의 재난관리체계
3. 주정부의 재난관리체계
4. 지방정부의 재난관리체계
5. 연방-주-지방정부 간 조직체계
제2절 독일의 재난관리체제
1. 재난관리조직체계
2. 연방정부의 재난관리체계
3. 주정부의 재난관리체계
4. 지방정부의 재난관리체계
5. 연방-주-지방정부 간 조직체계
6. 재난관리 시민대응체계
제3절 일본의 재난관리 체계
1. 재난관리 조직체계
2. 일본 도시방재시스템의 현황
3. 중앙정부와 지방의 역할분담
4. 위기관리체제의 평가와 강화
5. 재난관리 대응체계
제4절 주요국 재난관리체계의 시사점
1. 미국의 시사점
2. 독일의 시사점
3. 일본의 시사점
제4장 지자체 재난관리조직의 진단평가
제1절 진단평가를 위한 연구 설계
1. 문헌자료와 법령분석의 구성
2. 설문과 인터뷰 문항의 구성 및 내용
3. 조사대상과 범위
4. 조사방법
제2절 광역시도 재난관리 조직체계 현황진단.분석
1. 재난관리 조직체계의 현황분석
2. 재난관리 조직체계의 특성분석
3. 재난관리 조직의 법체계분석
4. 재난관리 조직체계의 한계
제3절 유기성분석
1. 설문조사 분석
2. 인터뷰 분석
제4절 재난안전분야 조직의 전문성 분석
1. 설문조사 분석
2. 인터뷰 분석
제5절 재난안전분야 조직의 통합성 분석
1. 설문조사분석
2. 인터뷰 분석
제6절 현장대응성 분석
1. 설문조사 분석
2. 인터뷰 분석
제5장 결론 : 요약 및 정책제언
제1절 논의의 종합
제2절 정책제언
1. 진단평가에 따른 정책제언
2. 법.제도적 개선방안
3. 선진국 재난안전관리 조직체계의 벤치마킹 방안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