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공무원의 갈등관리능력은 공공서비스의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무척 중요하나, 갈등 당사자인 공무원들은 자신들의 지배적인 갈등대처 유형이나 효과적인 갈등대처 유형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조차 되고 있지 못한 실정
○ 학계에서도 한국 행정현실과 공무원의 특수성을 반영한 갈등관리 유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재한 상황
○ 효과적인 갈등관리를 통해 공무원 조직의 쇄신과 조직효과성을 제고하려는 시도가 아직 미비
- 조직 내 갈등에 대하여 향후 공무원들의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을 제고할 수 있는 조직 차원의 합리적 대안 도출 및 제시의 필요성 부상
· 조직구성원의 효율적인 갈등관리 여부에 따라 조직몰입이나 직무만족이 영향을 받으며, 이로 인해 조직의 효과성이 증가하거나 감소
· 팀 리더의 리더십은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몰입도 및 직무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리더십의 유형에 따라 조직몰입도와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가능성 농후
2. 이론적 검토
□ Thomas와 Kilman(1975)의 갈등대처 유형
○ Thomas & Kilman(1975)의 갈등대처 유형은 Blake & Mouton(1964)의 갈등격자모형을 재해석하여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관심사를 충족시켜주기를 원하는 정도인 협력성(cooperativeness)과 한 사람이 자기 자신의 관심사를 충족시켜주기를 원하는 정도인 독단성(assertiveness)의 두 차원을 결합하여 조직 내 갈등에 대처하는 유형을 경쟁형(competition), 협력형(collaboration), 타협형(compromise), 회피형(avoidance), 순응형(accommodation) 5가지로 분류함
<이하 원문 확인>
목차
목 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제2장 이론적 고찰 및 분석틀
제1절 갈등대처 유형
1. 갈등의 개념과 정의
2. 갈등대처 유형
제2절 리더십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
제3절 연구분석틀
1. 연구모형
2. 연구가설
3. 설문구성
제4절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제3장 중앙부처 공무원의 갈등대처 유형
제1절 인구통계학적 특성
제2절 중앙부처 공무원의 갈등대처 유형
1. 중앙부처 공무원의 갈등대처 유형(전체)
2. 중앙부처 공무원의 성별 갈등대처 유형
3. 중앙부처 공무원의 연령별 갈등대처 유형
4. 중앙부처 공무원의 직급별 갈등대처 유형
제3절 한국형 갈등대처 진단표
제4장 갈등대처 유형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간 관계 분석
제1절 갈등대처 유형별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 비교
1.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 측정도구의 신뢰도
2. 갈등대처 유형별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 비교 분석
제2절 갈등대처 유형별 리더십 인식 비교
1. 리더십 측정도구의 신뢰도
2. 갈등대처 유형별 리더십 인식 비교 분석
제3절 갈등대처 유형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 간 관계
1. 주요 변수간 구조적 관계 분석
2. 갈등대처 유형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 간 구조적 관계
3. 리더십의 매개 역할 및 조직몰입과 직무만족간 관계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제1절 연구의 의의
제2절 갈등대처 유형\
1. 주요 갈등대처 유형
2. 조직 내 주요 갈등상황
제3절 갈등대처 유형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의 관계
1. 갈등대처 유형별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 차이
2. 조직몰입 제고를 위한 갈등대처방식
제4절 리더십의 역할과 기능
1. 변혁적 리더십의 매개 역할
2. 경쟁형과 변혁적 리더십
제5절 정책제언 및 연구의 한계
1. 정책 제언
2.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