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1.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성 결혼이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의 실태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여성 결혼이주민 한국어 교육을 실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이를 토대로 여성 결혼이주민 한국어 교육을 더욱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정부부처 내, 정부부처 간 및 지자체 간의 중복 지원으로 정부 지원예산은 증액되고 있는 반면, 결혼이주민의 주요 한국어 교육 기관인 다문화센터의 활용도는 낮은 상황이어서 여성 결혼이민자의 초기 한국어 교육에 대한 실효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음
○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와 민간부문에서 시행되는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며, 효율적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및 민간단체를 포함한 사회·문화적 환경 조성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함
-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①여성 결혼이주민 한국어 교육의 운영 실태분석, ②해외 사례 및 비교분석, ③관련자 설문조사와 인터뷰 등을 실시하여 분석함
2. 이론적 배경
□ 결혼이주민의 개념
○ 정부정책에서 결혼이민자, 결혼이주민 등 다양한 호칭이 사용되어 있고 정부 간 결혼이민자에 대한 정의가 확실치 않아 혼선이 야기되고 있음
○ 현재 법체계에서는 외국계주민을 한국 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외국인 근로자, 결혼이민자, 유학생, 재외동포, 기타외국인), 한국국적을 취득한 자(혼인귀화자, 기타사유 국적 취득자), 외국계 주민자녀(외국인 부모, 외국인-한국인 부모, 한국인 부모)로 구분하고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여성 결혼이민자의 개념을 결혼이민자와 귀화자를 결혼이주민으로 통칭함
□ 여성 결혼이주민 한국어 교육의 이론적 검토
○ 제2차 언어습득과 관련하여 언어의 능숙도 이론, 노출이론, 인센티브 이론도 중요
- 언어의 능숙도(proficiency) 이론
· 여성 결혼이주민의 행태를 잘 설명하고 있음
<이하 원문 확인
목차
목 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제2절 연구의 목적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4절 연구의 흐름도
제2장 여성 결혼이주민 한국어 교육의 이론적 배경
제1절 여성 결혼이주민의 개념과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
1. 여성 결혼이주민의 개념
2. 여성 결혼이주민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
제2절 이주민의 제2차언어 습득에 대한 이론적 검토
1. 언어 능숙도(language proficiency) 이론
2. 노출(exposure) 이론
3. 인센티브(incentives) 이론
제3절 선행연구의 검토와 본 연구의 차별성
1. 선행연구 검토
2. 본 연구의 차별성
제3장 우리나라 여성 결혼이주민 한국어 교육의 운영현황 분석
제1절 중앙정부의 한국어 교육사업 운영현황 분석
1. 중앙부처의 한국어 교육사업 현황분석
2. 여성가족부의 한국어 교육사업 운영현황 분석
3. 법무부의 한국어 교육사업 운영현황 분석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한국어 교육 운영현황 분석
1.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관련 조례 현황
2. 지방자치단체별 한국어 교육사업 현황
제3절 민간 부문의 한국어 교육사업 운영현황 분석
1. 다문화관련 민간단체 현황
2. 민간단체의 한국어 교육 현황
제4절 한국어 교사와 교재 현황 분석
1. 한국어 교사의 실태 분석
2. 한국어 교재의 현황 분석
제4장 여성 결혼이주민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설문분석
제1절 조사 대상과 조사 설계
1. 조사 대상 지역
2. 조사 설계
제2절 설문조사 결과
1. 여성 결혼이주민 설문조사 결과
2. 한국어 교사 설문조사 결과
3. 여성 결혼이주민의 한국어 실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4. 여성 결혼이주민의 한국어 습득 효과의 이론적 검증
제5장 결혼이주민 언어정책의 국제비교
제1절 선진국 여성 이주민의 언어정책 비교
1. 미국의 여성 이주민과 언어정책
2. 프랑스의 여성 이주민과 언어정책
3. 독일의 여성 이주민과 언어정책
제2절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제6장 결 론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제2절 정책제안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