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국가 정책에 대해 국민의 이해와 협조를 구하기 위한 국정 소통의 필요성 증대
○ 국정소통과 정부 정책에의 순응성, 정부신뢰는 밀접한 관계
○ 국민들에게 정책의 미래 예측가능성을 제시하고 정책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적극적 정책홍보의 필요
○ 정책의 형성과 집행, 평가 등 모든 정책과정에서 국민 여론을 수렴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려는 쌍방향적 소통이 중요
□ 상황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국정 소통 시스템 제시
○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국정 소통 시스템 구축
○ 여론이 형성되는 사이버 공간을 효과적으로 관리.통제하는 시스템 구축
○ 국정 소통 활동 전체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실시하여 정책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극대화
○ 정부 활동 및 정책에 대한 국민의 이해 증진과 정부 신뢰 제고
2. 이론적 검토
□ 국정 소통이란 정부의 정책과 운영에 대해 행정부와 비정치적인 또는 비정 당적인 국민 간에 일어나는 의사소통 활동
○ 국정 소통의 기능
- 국민에 대한 정보 제공, (정책과 개혁에 대한)주장과 설득, 국민의 참여
- 국정 소통을 통하여 ① 효과성(정부 시책에 대한 정당성과 광범한 지원 형성), ② 대응성(국민의 요구를 알고 이에 대응함), ③ 책무성(정부의 임무를 설명하고 정부의 책무성을 확보하기 위한 메커니즘 제공) 등 핵심 요소의 증진을 도모
□ 정부 PR이란 정부와 국민의 상호 관계에 대한 적절한 조정에 주목하여 어떤 사업 혹은 정책, 제도를 위해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설득 및 조정을 통해 국민의 지지를 유도하려는 것
□ 뉴미디어의 도래로 다양한 기기와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커뮤니티, 커뮤니케이션, 참여를 특징으로 공유된 콘텐츠, 공유된 도구, 제한 없는 토론을 기반으로 사용자간 상호작용 발전
<이하 원문 확인>
목차
목 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제2장 국정소통과 정부 PR에 대한 이론적 검토
제1절 국정소통
1. 국정소통의 의미
2. 국정소통의 기능과 정부신뢰
제2절 정부 PR
1. 정부 PR의 의미
2. 뉴미디어시대의 도래
3. 소셜미디어와 정책환경의 변화
제3절 연구의 분석틀
1. 기존 모델/이론에 대한 검토
2. 국정소통의 분석틀
제3장 역대 정부의 PR 시스템 분석과 뉴 미디어 시대의 PR 전략에 대한 제안
제1절 역대 정부의 PR 시스템
1. 역대정부의 PR 시스템의 변화와 그 의미
제2절 역대 정부 PR 조직과 변화
1. 역대 정부의 PR조직의 전반적 개편
2. 역대 정부 PR조직의 부분적 또는 내부적 개편
제3절 역대 정부 PR조직의 기능의 변화와 평가
1. 역대 정부 PR조직의 기능의 변화
2. 역대 정부 PR 시스템에 대한 평가
제4절 뉴미디어 시대의 미디어 이용행태의 변화와 새로운 정부 PR 전략의 제언
1. 올드 미디어의 퇴조와 뉴미디어의 등장
2. 뉴미디어 시대의 수용자들의 뉴스 수용 행태의 변화와 새로운 PR전략의 필요성
제4장 사례별 국정소통 실태 분석
제1절 미국산 쇠고기 협상
1. 사례의 개요
2. 사례의 분석
3. 사례의 종합 정리
제2절 세종시
1. 사례의 개요
2. 사례의 분석
3. 사례의 종합정리
제3절 4대강 개발사업
1. 사례의 개요
2. 사례의 분석
3. 사례의 종합정리
제4절 천안함 사태
1. 사례의 개요
2. 사례의 분석
3. 사례의 종합정리
제5장 정부신뢰 제고를 위한 국정소통 증진방안
제1절 국정소통의 문제점
제2절 국정소통 증진방안
1. 국정소통모니터링시스템(GCMS) 구축
2. 정부의 소통능력 제고
3. 정책과정과 소통활동의 연계
4. 소통문화의 형성
5. 민주적 거버넌스 실현
제6장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