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1. 연구 배경과 목적
□ 연구 배경
○ 1990년대 중반부터 사회자본(social capital)이 경제발전, 민주주의의 동력으로 간주되면서 신뢰 및 거버넌스에 대한 연구가 급증하고 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정책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한국적 맥락에서의 신뢰 및 거버넌스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부족한 상태임
○ 2009년 신뢰와 거버넌스에 대한 일반국민 인식조사 자료(이광희, 한국행정연구원)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일반국민이 인식하는 한국사회의 신뢰 및 거버넌스 수준의 변화를 확인해 보고 이를 향후 정책설계에 반영할 필요가 있음
□ 연구 목적
○ 신뢰 및 거버넌스에 대한 한국적 맥락에서의 경험적 연구를 축적할 목적으로 신뢰 및 거버넌스에 대한 2012년 일반국민 인식자료를 생성하고, 이를 2009년 인식자료와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정책설계에 기여하고자 함
○ 신뢰 및 거버넌스의 개념과 측정에 대한 문헌검토 및 2009년 설문조사의 특징 및 한계점 분석을 통하여 보다 체계적인 2012년 신뢰 및 거버넌스 인식자료를 생성함에 일차적 목적이 있음
2. 선행연구 검토 및 설문문항 구성
□ 선행연구 검토
○ 신뢰 및 거버넌스의 개념과 측정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살펴보고 이를 보완하는 설문문항을 구성함
○ 3년 주기의 한국행정연구원 행정DB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 본 설문조사는 2009년 설문조사에 추가적 시계열 자료를 축적함에 기본 목적이 있으므로, 설문문항은 이에 기초를 두면서 추가, 보완하여 구성함
□ 설문문항 구성
○ 신뢰 측정문항은 다수의 선행연구 또는 2009년 연구와 같이 대인신뢰와 제도신뢰의 구분을 유지함. 그러나 2009년과 달리 대인신뢰와 제도신뢰의 측정대상을 보다 세분화하고, 단일문항 척도와 다차원 척도를 복합적으로 구성함
- 대인신뢰는 주변사람에 대한 신뢰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가족, 학교동창, 고향동료.선후배, 직장동료, 일반인의 다섯 가지 범주로 세분함. 세부측정문항은 단일문항 척도인 신뢰와 다차원문항 척도인 이타성, 윤리성으로 구성함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제2절 연구 대상과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제2장 선행연구 검토
제1절 신뢰에 관한 문헌연구
1. 신뢰의 개념
2. 신뢰의 측정
제2절 거버넌스에 관한 문헌연구
1. 거버넌스의 개념
2. 거버넌스의 측정
제3절 소결 및 연구의 차별성
제3장 설문조사 설계
제1절 설문조사 개요
1. 조사 목적
2. 조사 대상
3. 설문문항 구성
4. 분석 방법
제2절 응답자 특성분석
1. 성별 분포
2. 연령별 분포
3. 교육수준별 분포
4. 소득수준별 분포
5. 직업별 분포
6. 지역별 분포
제3절 소결
제4장 분석결과
제1절 신뢰 인식수준 분석결과
1. 주변사람에 대한 신뢰
2. 중앙정부에 대한 신뢰
3.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신뢰
4.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
5. 기업에 대한 신뢰
6. 종합 및 비교분석
7. 인구통계변수별 평균 비교분석
제2절 거버넌스 인식수준 분석결과
1. 중앙정부 거버넌스
2. 지방자치단체 거버넌스
3. 시민단체 거버넌스
4. 대기업 거버넌스
5. 중소기업 거버넌스
6. 종합 및 비교분석
7. 인구통계변수별 평균 비교분석
제3절 종합 및 소결
1. 분석결과 종합
2. 소결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제1절 요약
제2절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 록
부록 1 신뢰 및 거버넌스에 대한 시민 인식조사 설문지
부록 2 Raw 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