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글로벌 체제 하에서 주요 국가의 행정체제 및 공공정책을 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 정부가 벤치마킹할 수 있는 주요 제도와 정책 등을 소개하는 비교 및 지역연구의 필요성 대두
- 인도네시아 정부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전략적 파트너인 인도네시아의 행정과 공공정책에 대한 이해를 제고할 필요성 제기
- 인도네시아의 행정과 공공정책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정부가 고려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함으로써 우리나라 행정 및 공공정책이 한 단계 발전 할 수 있는 기초 제공
- 인도네시아 행정과 공공정책이 가지고 있는 특수성과 보편성을 우리나라와 비교함으로써 이론과 실무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분석하여 문제해결을 모색하는데 기여
□ 인도네시아 정부의 행정제도와 공공정책을 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 정부가 활용할 수 있는 대안이나 전략 탐색
- 인도네시아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계기 마련
- 인도네시아가 지닌 특수성을 고려하여 행정의 다양성과 행정이론의 보편성을 서구 선진국 중심에서 벗어나 보다 다각적으로 접근
- 우리나라 행정이 추구하는 새로운 시대의 목표 수립과 집행에 필요한 추가적 정보를 인도네시아의 경험으로부터 획득
2. 정책 및 사례분석
□ 인도네시아의 인문·사회적 환경 분석
○ 지리적인 광범위성과 함께 그에 따르는 다양성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
- 인구 약 2억 5천만 명으로 세계 4위 규모, 약 300여 종족이 분포하는 다민족 국가
- 힌두, 불교, 이슬람, 기독교 등과 연관된 문화적 다양성
- 다양성 속의 통합을 지향하는 판차실라의 채택
○ G-20 국가의 일원으로 세계경제에 있어 중요한 요소
- 새로운 개혁조치와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연간 6% 이상의 경제성장 실현
- 풍부한 자연자원과 인적자원기반을 통한 발전 추세가 농후
목차
제 1 편 총론 : 연구의 필요성과 범위
제 1 장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제 2 장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 3 장 연구 기대성과
제 2 편 인도네시아의 행정환경
제 1 장 인문사회적환경
제 2 장 헌법 및 법률적 기반
제 3 장 정치체제 및 거버넌스
제 3 편 인도네시아의 행정체제와 과정
제 1 장 행정조직 및 행정문화
제 2 장 공무원 인적자원관리
제 3 장 인도네시아의 예산과 재정
제 4 장 인도네시아의 정부 간 관계와 지방행정
제 5 장 인도네시아의 전자정부
제 6 장 인도네시아의 행정통제
제 4 편 인도네시아의 공공정책
제 1 장 공공정책과정
제 2 장 외교안보정책
제 3 장 인도네시아의 경제산업과학기술정책
제 4 장 인도네시아의 보건복지환경정책
제 5 장 인도네시아의 교육문화정책
제 5 편 인도네시아 연구의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