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1. 연구목적
□ 스마트기술의 등장으로 재난관리에서 민·관 협력의 가능성과 필요성이 대두함에 따라, 스마트기술을 기반으로 국가 위주의 재난관리 체계를 보완하는 민·관 협력체계 구축을 모색하고 이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대응방안 제시
○ 재난관리의 역량 강화 및 복원력 제고를 위해서는 정부의 재난대응과 복구능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민간 영역과 지역사회와의 협력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 확산
○ 국가 안전관리 체계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의 접목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최근 스마트앱, 사회연결망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등의 등장 및 이용 확대로 ICT 환경이 급속히 변함에 따라 기존 ‘명령과 통제’ 방식의 재난관리에도 변화가 요구됨
○ 실제, 지난 2011년 3월 일본 대지진과 쓰나미 재난 상황, 2010년 아이티 대지진, 2007년 버지니아 공대 총기 사건, 2007년 캘리포니아 화재(산불), 2008년 뭄바이 테러 공격, 한국의 경우 2010년 10월 부산 해운대의 주거용 오피스텔 화재 사건과 2010년 11월 연평도 포격사건, 2012년 태풍 볼라벤 사례 등에서 시민 참여와 스마트기기·소셜 미디어 이용이 재난관리에 가져오는 시너지 효과를 엿볼 수 있었음
○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스마트기술을 이용하여 재난 지역에서의 시민 참여 및 사회적 자본 확충을 가져오는 현장 중심 재난관리 제고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다음의 연구흐름도에 도식화한 연구방법 및 순서에 따라 연구를 진행함
2. 이론적 배경
□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재난안전에의 민간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스마트기술의 활용이라는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 마련
○ 기존 연구의 경우, 스마트기술 출현이라는 새로운 환경 변화를 민간의 재난관리 참여 문제에 반영한 연구는 거의 없음
- PC 및 유선망 기반 재난관리정보시스템 구축 연구 및 GIS 기술을 활용한 재난관리 연구는 있으나 스마트모바일(Smart mobile)기술 및 애플리케이션 활용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음
- 최근에 발표되는 연구들 역시 재난관리를 위해 스마트기술 및 애플리케이션을 활용·개발하는 기술 중심의 연구들이 대부분으로, 재난관리에의 민간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스마트기술을 다루는 연구는 전무함
-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기술 기반 재난관리에 대한 이론적·원론적인 접근에서 벗어나 실무자 및 재난안전 전문가들과 민간 자원봉사자들이 어떻게 스마트기술이나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지, 소셜 미디어가 민간의 소통, 협력, 조직화에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규명하고자 함
<이하 원문 확인>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선행 연구 검토
제3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제2장 이론적 고찰
제1절 재난안전관리 환경 변화와 민간참여의 확대
제2절 스마트 시대 민간참여 영향요인
제3절 스마트기술 진화와 재난안전 거버넌스
제3장 재난안전관리에서 해외 스마트기술 활용사례
제1절 재난안전관리 패러다임의 변화 개관
제2절 해외의 스마트기술 활용 재난 대응 사례
제3절 해외 활용 현황을 통해 도출되는 시사점
제4장 재난안전관리에서 국내 스마트기술 활용사례
제1절 국내 스마트 재난안전관리 추진 계획
제2절 국내 스마트기술 활용 재난 대응 사례
제3절 국내 활용 현황을 통해 도출되는 시사점
제5장 재난안전 민간참여 수준진단을 위한 실증분석
제1절 설문의 취지 및 분석틀
제2절 재난안전관리 실무자 설문조사
제3절 민간자원봉사자 설문조사
제4절 공무원과 민간자원봉사자 간의 인식 비교
제6장 정책 제언 및 결론
제1절 정책 제언
제2절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