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1. 연구배경 및 목적
□ 공공갈등에 대한 인식전환을 토대로 정책수용성 증대 및 사회적 비용 감소를 위한 다양한 방식 모색
○ 국민·주민의 정책수용성 감소 및 저항 증가
- 그간 억눌린 욕구와 피해의식이 표출된 필연적 결과
○ 갈등을 사회적 산물로 이해하는 경향 발생
- 기존 갈등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서 탈피, 적극적으로 관리해야할 대상으로 인식
- 갈등 발생의 당위성 인지 및 갈등 최소화를 위한 다양한 방법 개발
○ 갈등관리에 합의형성프로세스 도입
- 갈등 발생에 따른 사회적 비용 최소화 및 이해관계 조정을 위한 합의형성과정의 도입
- 실질적 합의형성 시스템 구축 및 갈등관리 기제 구비 미흡으로 성공사례보다 실패사례 빈도 높음
□ 사람의 마음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갈등관리시스템 변화 필요
○ 사람들의 비합리적 의사결정 행태에 근거하여 합리성의 범주로 정책 대상자들을 이끌 수 있는 방식 도입 필요
- 합리성에 기반한 정책당위성 설명에 의한 처방적 진단은 정책을 손실로 인식하고, 불공평하다고 생각하는 주민들의 인식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없음
- 기존 관리과학에서도 의사결정에 관해 집중적으로 다루는 분야는 찾기 어려워 새로운 이론의 도입이 절실한 상황
○ 정책수용성의 판단에도 인지적 요소를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감정을 파악하고 움직이기 위한 갈등관리 방식도입 필요
- 비합리적 이해관계자들의 특성 분석 및 공공갈등의 순기능 활용을 위한 실질적 노력 필요
- 인간의 행동을 조절하고 희망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식의 토대 마련 필요
□ 효과적인 갈등관리를 위한 시스템 변화 전략 제시
○ 행동주의적 접근을 갈등관리 분야에 접목
- 갈등관리이론의 현대적 경향을 행동주의적 관점에서 해석
- 정책결정자와 이해관계자의 간극 조절을 위한 행동주의적 접근
- 행동주의적 정책대안 설계의 현실성과 필수성 확보를 위한 이론적 근거 마련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제2절 연구의 목적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4절 연구의 동향 및 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공공갈등의 현황과 새로운 접근 필요성
제1절 공공갈등의 의의
제2절 새로운 공공갈등관리의 필요성
제3절 공공갈등 현황과 문제점
제3장 행동경제학의 의의와 갈등관리에 적용 가능성
제1절 인간의 비합리적 행태에 대한 인식 전환 필요성
제2절 체계적 편향성 발생 요인
제3절 합리적 판단을 위한 선택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