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 연구목적 및 필요성
행정관리역량평가에 대한 관심이 다른 평가제도에 비해 소홀하고, 관련된 이론적 논의 및 경험적 연구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행정관리역량평가 제도의 실태 분석을 통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나아가 통합적인 정부업무평가제도 구축 및 발전을 도모함
■ 연구내용
연구 분석 모형 도출을 위해 역량평가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국내외 사례를 검토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 문헌 자료 분석, 공무원 설문조사 및 심층면접,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함
행정관리역량평가의 효과성 진단 결과 안행부와 전문가들은 효과성이 낮다고 보는 반면에, 중앙부처 공무원들은 기관역량제고에 일부 기여한다고 판단함
평가단계별 운영 실태를 분석한 결과 기획단계에서 평가 목적의 명확성 부족, 수행단계에서는 평가지표의 적절성 및 일관성 부족, 결과 단계에서는 공개 및 활용 미흡의 문제가 제시됨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된 대안 모형은 정책방향, 조직과정, 자원요소와 리더십, 전략기획, 내·외부 협력, 국민중심서비스, 성과관리, 인적자원 관리, 정보기술관리, 재정/지식관리 등 8가지 하위요소로 구성됨
공무원 인식조사 실시 결과 역량증진과 조직성과 제고의 영향력 관계가 검증 되었으며, 평가기획 단계의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았고, 평가지표에 대한 개선의견이 많으며, 대안모델의 정책방향 요소의 유용성이 높음을 확인함
■ 정책대안
..평가제도 운영, 관련 법령 및 지침, 평가추진체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지표 수정방안과 대안 평가모델로 이원화 모델과 통합 모델을 제시함
..행정관리역량 평가가 조직의 성과 제고에 기여하고 있으며, 현행 모델 및 운영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장기적으로 “기관역량” 통합 모델을 지향해야 함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목적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제2절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제2장 행정관리역량평가의 이론과 실제
제1절 역량에 대한 이론적 논의
1. 역량에 대한 개념적 논의
2. 역량에 대한 유형 분류
3. 행정관리역량과 조직역량
제2절 조직역량평가의 국외 사례
1. 공공부문의 조직역량평가
2. 민간부문의 조직역량평가
3. 소결
제3절 정부업무평가에서의 조직역량평가
1. 중앙행정기관평가에서의 조직역량평가
2. 지방자치단체평가에서의 조직역량평가
3. 공공기관평가에서의 조직역량평가
4. 소결
제3장 연구모형
제1절 방법론적 논의
1. 행정관리역량평가제도의 효과성 분석
2. 메타평가 방법론
제2절 분석 모형
1. 효과성 분석
2. 평가제도 운영 실태 분석
3. 평가모델 분석 및 대안모델 도출
4. 전체 분석 모형
제3절 자료수집
1. 문헌 자료 및 인터넷 자료
2. 심층 면접
3. 설문 조사
제4장 행정관리역량평가 실태 분석
제1절 행정관리역량평가 제도 개요
1. 평가계획
2. 평가결과
3. 실태점검
제2절 행정관리역량평가제도 효과성 분석
1. 평가담당 공무원 면접 조사 결과
2. 성과관리 전문가 면접 조사 결과
3. 소결
제3절 행정관리역량평가제도의 운영 실태 분석
1. 평가기획
2. 평가수행
3. 평가결과
제5장 전문가 델파이 조사
제1절 조사 개요
제2절 조사 결과
1. 제1차 DHP 조사
2. 제2차 DHP 조사
3. 최종적인 대안 모형
제6장 중앙행정기관 공무원 인식조사
제1절 조사 개요
1. 조사모델
2. 응답자 특성
제2절 분석 결과
1. 행정관리역량평가 효과성 분석
2. 행정관리역량평가 제도운영 및 실태 분석(메타평가)
3. 대안적 평가모델
제3절 소결
1. 분석결과 요약
2. 실태분석 및 전문가 조사와의 비교
제7장 행정관리역량평가 개선방안
제1절 행정관리역량평가제도 개선방안
1. 개선방안 도출 과정
2. 조사별 개선방안 내용
3. 개선방안
제2절 행정관리역량 평가모델 개선방안
1. 개선방안 도출 과정
2. 조사별 시사점
3. 개선방안
제8장 결론
1. 행정관리역량 평가의 의의와 중요성
2. 행정관리역량평가 개선 방안
3. 행정관리역량평가와 정부업무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