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 연구 배경 및 목적
| 연구목적 |
··정부 3.0 구현을 뒷받침하고 다수 조직(부서, 부처, 부문)간 업무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업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함
| 연구 배경 |
··글로벌 행정환경의 변화에 따라 등장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행정수요 및 정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전의 칸막이와 경쟁으로는 한계, 협업적 접근이
필요함
■ 연구내용
··협업행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문제제기에 따라 2장에서는 협업행정에 관한 다양한 쟁점에 대해 선행연구 및 이론을 검토하고, 3장 및 4장 에서는 협업행정에 관한 실증적·인식적 분석을 수행하며, 5장에서는 이론검토, 실태분석 및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행태·문화적 차원, 조직 차원, 제도 차원, 조직관리 차원에서 협업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6장에서는 본 연구 전체를 요약하고 이론적·실무적·제도적·정책적 제언으로 구분하여 제시함
■ 연구의 한계점
··그동안 민간부문 중심으로 이루어진 협업을 공공부문으로 정착화 시키는데 민간부문과 공공부문 간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심층적으로 고려하는 점이 다소 부족함
■ 정책대안
··협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행태·문화적 차원에서는 협업 참여자간 신뢰형성, 협업적 리더십, 협업적 문화, 협업 미션에 부합하는 역할과 책임성이 요구되며, 조직 차원에서는 공공목적과 목표공유, 협업 구성원간 (비)공식적 의사소통, 적절한 권한 위임, 협업 과정과 구조의 투명성과 유연성 설계, 제도 차원에서는 법령 및 매뉴얼 정립, 성과관리제도(성과평가 및 인센티브) 정립, 인사교류, 예산편성 및 배정, 조직관리 차원에서는 협업 조정자(컨트롤 타워) 역할, 조직진단, 칸막이 제거, 클라우드 컴퓨팅 및 빅데이터 활성화를 제시함
··실무적으로는 기능이나 업무 중에서 협업의 필요성 여부를 선정하고 협업적 리더십을 발휘하여 협업의 공동목적을 구현하기 위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및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업무환경을 스마트 시대에 맞게 전환하는 정책이 요구됨
··제도적으로는 관련 법령인 「정부조직법」,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 「국가재정법」 정부조직관리지침 등 협업에 대한 주요 내용을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성과관리에서 협업을 주요한 평가지표로 산입하고 가중치를 높일 필요가 있음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내용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내용
제3절 연구의 방법과 흐름도
1. 연구의 방법
2. 연구의 흐름도
3. 연구의 기여도
제2장 조직관리 및 협업행정의 이론적 검토
제1절 정부 조직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1. 정부 조직관리의 의의
2. NPM 시각의 조직관리
3. Post-NPM 시각의 조직관리
제2절 정부운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정부3.0
1. 정부3.0의 맥락
2. 정부3.0의 개념 및 목표
3. 정부3.0의 업무환경
제3절 협업행정의 이론적 검토
1. 협업의 의의
2. 협업의 동인
3. 협업의 유형과 과정
4. 협업의 제약
5. 협업의 촉진
제4절 본 연구의 분석 틀
제3장 협업행정 관련 실태분석
제1절 주요국 협업행정 관련 실태분석
1. 영미권 사례
2. EU권 사례
3. 아시아권 사례
제2절 민간부문의 협업 실태분석
1. 기업의 협업 메커니즘
2. 산업별 협업 사례
3. 글로벌 기업의 협업 사례
제3절 우리나라 공공부문의 협업 실태분석
1. 중앙정부 협업행정의 실태분석
2. 지방자치단체 협업행정의 실태분석
3. 공공기관 협업행정의 실태분석
제4장 협업행정에 관한 인식조사 및 분석
제1절 설문조사 개요
1. 설문조사의 의의
2. 설문조사의 대상과 방법
3. 설문조사의 질문 항목
제2절 설문조사 결과 분석
1. 응답자 특성
2. 설문조사 결과분석
제3절 설문조사 요약 및 시사점
1. 요약
2. 설문조사 결과의 시사점
제5장 협업행정의 활성화 방안
제1절 행태?문화 차원의 협업행정 활성화 방안
1. 협업 참여자간 신뢰 형성
2. 협업적 리더십 강화
3. 협업적 조직문화 조성
4. 협업 참여자의 역할과 책임성 제고
제2절 조직 차원의 협업행정 활성화 방안
1. 협업의 공동목적 합의
2. (비)공식적 의사소통 강화
3. 협업의 권한위임 강화
4. 협업의 과정과 구조 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