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 연구목적 및 필요성
| 연구목적 |
- 중앙정부의 세종시 조기 정착 및 한국행정에의 연착륙을 지원하고, 국가행정에서 중심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인사행정측면에서 지원
- 단기적으로는 2014년 12월에 있을 3차 이전을 지원하고, 장기적으로는 모든 기관 이전 사업에 예상되는 부작용을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기여
| 연구필요성 |
- 세종시가 사실상 국가행정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되어 현실과 위상에 맞는 인적자원관리가 필요하지만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연구 미흡
■ 연구내용
| 일과 삶의 조화(Harmony of Work and Life) 개념 제시 |
- 신도시로의 중앙행정기관 이전이라는 현실에 보다 실천적인 대안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과 삶의 균형(Work - Life Balance, WLB)과 관련된 기존 연구개념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일과 삶의 조화’(Harmony of Work and Life, HWL) 개념 제시
| 연구 추진 방법 |
- ‘일과 삶의 조화’에서 공통 영역, 일 영역, 삶 영역으로 분류하고, Herzberg의 욕구충족요인 2원론을 접목하여 분석틀을 설정하며, 일과 삶 조화 실태심층인터뷰를 분석한 뒤, 실태조사 내용을 보완하고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의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 실시
- 인적자원관리 이슈를 도출하기 위해 일반적인 인사행정제도 측면, 집단 측면으로 two - track 분석 후 단계별 적용 시기 제시
■ 연구의 한계점
- 설문 결과 잔류기관 공무원도 일과 삶의 부조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공무원 사회를 대상으로 연구 진행 필요
■ 정책대안
- 일반적인 인사제도를 통한 공통적인 개선 방안: 공직에의 우수인재 모집, 공정한 승진시스템 운영, 공직봉사동기(PSM) 등 사기앙양, 탄력적 업무시간 제공 등으로 교육훈련 지원, 수도권 소재 단기관사 마련 및 세종시와 타 지역간 인사교류 확대, 연계업무 평가 등 Post - NPM적 인사관리 필요
- 집단별 개선 방안: 20대 미혼·40대 기혼 공무원의 경우 인프라 등 공통영역 지원이 시급, 충북·대전 30대 공무원의 경우 업무와 관련된 인적네트워크 지원 필요, 세종시에 사는 30대 남성의 경우 교육훈련 등 업무관련 요소와 업무 친화적인 청사환경 제공 필요, 나머지 그룹의 경우 자녀교육 및 육아인프라를 제공하고 동아리 소그룹 지원 등 인적네트워크 지원 필요
- 재정적·시간적 자원의 한계로 인해 모든 개선방안을 동시다발적으로 시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에 개선방안들의 단계적 적용 필요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내용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내용
제3절 연구의 방법
1. 연구 방법
2. 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이론적 검토와 분석틀
제1절 세종시 분산과 새로운 인적자원관리
1. 세종정부청사 출범에 따른 행정환경 변화
2. 세종시 이전과 새로운 인적자원관리 요구
제2절 일과 삶 조화의 필요성과 이론적 검토
1. ‘일과 삶의 균형’의 필요성
2. 이론적 검토
제3절 분석틀 제시
제3장 ‘일과 삶 조화’ 정책 사례
제1절 해외 주요국 사례
1. 미국
2. 유럽
3. 일본
제2절 이전기관 관련 정책사례
1. 대전청사 사례 - 관세청 GWP 실행프로그램
2. 민간기업 지방이전 사례 - DAUM
제3절 독일의 이전 공무원 정책사례
1. 베를린 이전 사례와 세종시 이전 사례의 차이
2. WLB 관련 베를린 이전 판례사례
제4절 소결론
1. 논의의 종합
2. 정책적 시사점
제4장 세종시 공무원 ‘일과 삶 조화’ 실태와 정부 대응
제1절 세종시 공무원 ‘일과 삶 조화’ 실태 조사
1. 실태조사 개요
2. 공통기반 영역
3. 일 영역
4. 삶 영역
제2절 세종시 이전과 정부 대응
1. 세종시 관련 각종 협의체 등 조직 운영
2. 행정효율성 제고 관련 지원
3. 이전 및 정주여건 지원
제3절 조사결과 분석
1. 분석 개요
2. 분석 결과
3. 시사점
제5장 세종시 공무원의 ‘일과 삶 조화’ 실증 분석
제1절 공무원의 일과 삶 조화 설문조사 개요
제2절 공무원 일과 삶 조화 실태와 심리?행태
1. 일과 삶의 비중에 대한 바람과 현실
2. 공통영역 만족도
3. 일 영역 만족도와 실태
4. 삶 영역 만족도와 실태
5. 일과 삶의 조화 만족도
6. 일과 삶 조화에 따른 심리?행태
제3절 일과 삶 조화를 위한 제도적 대안
1. 업무?부서의 배치 및 전환
2. 교육훈련 및 역량개발
3. 승진
4. 휴가, 휴직
5. 일과 삶 조화 목적의 정책 필요 여부
6. 일과 삶 조화를 위한 제도 제안
제6장 세종시 공무원에 대한 ‘일과 삶 조화’ 문제점과 개선방안
제1절 위생 요인
1. 공통기반 영역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2. 일 영역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3. 삶 영역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제2절 동기 요인
1. 일 영역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2. 삶 영역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제7장 결론 및 정책제언
제1절 연구의 요약
제2절 정책 제언
1. 공통적인 인사제도상 개선 방안
2. 집단별 개선 방안
3. 단계별 개선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