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 정부업무평가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평가결과의 낮은 활용에 대한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성과측정 결과 도출된 성과정보가 유용하지 않고 성과지표의 타당성이 낮기 때문임
○ 평가의 타당성 제고를 위해 제공되는 현행 성과지표 개발 매뉴얼의 경우 계획 단계에서의 성과지표 개발에만 초점을 맞추어 단순 가이드 역할에 그치고 있음
○ 공무원 인식조사 및 성과관리 선진국 사례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평가의 타당성을 제고할 수 있는 성과측정 매뉴얼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제2절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1. 연구 내용
2.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제2장 이론적 논의와 분석 틀
제1절 성과측정에 대한 이론과 방법
1. 성과에 대한 인식론적 논의: 실증주의 vs 사회구성주의
2. 성과에 대한 개념적 논의
3. 성과측정에 대한 방법론적 논의
제2절 성과측정 매뉴얼의 요소
1. 성과측정의 단계
2. 성과측정 역설 현상
제3절 연구 모형
1. 분석 틀
2. 성과측정매뉴얼 개발
제3장 정부업무평가 지침 및 매뉴얼 분석
제1절 정부업무 성과관리 운영지침
1. 개요
2. 성과의 개념과 측정방법
3. 성과측정 단계별 분석
4. 성과측정 역설 현상 제시 및 해결방안
제2절 성과지표 개발?관리 매뉴얼
1. 개요
2. 성과개념 및 측정방법
3. 성과측정 단계별 분석
4. 성과측정 과정 역설 현상 제시 및 해결방안
제3절 재정사업 성과지표 개발 매뉴얼
1. 개요
2. 성과개념 및 측정방법
3. 성과측정단계별 분석
4. 성과측정 역설 현상 제시 및 해결방안
제4절 자체평가 시행계획
1. 개요
2. 성과개념 및 측정방법
3. 성과측정 단계별 분석
4. 성과측정 역설 현상 및 해결방안
제5절 소 결
1. 성과 개념과 측정방법
2. 성과측정 단계별 분석
3. 성과측정 역설현상
제4장 성과측정에 대한 심층면담조사
제1절 정부업무평가 담당 공무원 면담조사
1. 개요
2. 성과의 개념과 측정
3. 성과측정 단계
4. 성과측정의 역설현상
5. 기존 매뉴얼 활용 실태 및 개선방안
제2절 정부업무평가 전문가 심층 면담 조사
1. 개요
2. 성과의 개념과 측정
3. 성과측정 단계
4. 성과측정 역설 현상
5. 기존 매뉴얼 활용 실태
제3절 소 결
1. 성과에 대한 개념 비교
2. 성과 측정단계 및 역설현상에 대한 비교
3. 기존 매뉴얼 활용 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 비교
제5장 중앙행정기관 공무원 인식조사
제1절 조사 개요
1. 조사모델
2. 응답자 특성
제2절 분석결과
1. 기존 매뉴얼에 대한 인지도 및 활용수준
2. 기존 매뉴얼에 대한 유용성 분석
3. 성과측정 역설현상에 대한 분석
4. 성과측정 역설현상 개선방안
제6장 해외 사례 분석
제1절 캐나다 성과관리 매뉴얼
1. 개요
2. 구성요소별 분석
제2절 뉴질랜드 성과관리 매뉴얼
1. 개요
2. 구성요소별 분석
제3절 영국 성과평가 매뉴얼(Magenta Book)
1. 개요
2. 구성요소별 분석
제4절 소 결
제7장 성과측정 매뉴얼
제1절 성과측정 매뉴얼 개발 방향
1. 분석결과 시사점 도출
2. 매뉴얼 개발 전략
제2절 성과측정 매뉴얼
1. 서론
2. 성과측정프레임워크
3. 성과지표
4. 목표치
5. 자료수집 및 관리
6. 성과 분석 및 보고
7. 성과측정 역설현상과 대응방안
제8장 결 론
1. 연구의 의의
2. 정책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