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 최근 개인정보유출을 비롯해 사이버침해 사고가 급증하고 있으나, 국내보안환경은 ICT 기술 발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음
○ 사이버침해는 대부분 개인정보유출과 관련이 있으며,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제도 정비에도 개인정보수집에 대한 인식은 아직 부족한 상태
○ 개인정보 유출사고를 포함하여 대규모 동시 다발성 디도스(DDoS) 공격 역시 증가하고 있음. 최근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Cloud Computing Services), SNA(Social Network Analysis), 빅데이터 분석(Big Data Analysis) 등 새로운 기술 이용이 확대되면서 예측할 수 없는 사이버침해 사고는 더욱 증가할 전망
○ 사이버보안과 관련한 법이 많고, 주관부처가 제각각이어서 종합적인 사이버보안 정책 및 사업이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
□ 따라서 사이버보안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 금융?보안환경 변화 및 관련 법제도와 거버넌스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 다각적인 검토와 기술적 대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
제2절 연구 필요성
제3절 연구목적 및 기대효과
1. 연구목적
2.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제4절 연구흐름 및 연구방법
1. 연구흐름
2. 연구방법
제2장 이론적 고찰
제1절 사이버보안
1. 정보보안과 사이버보안
2. 사이버침해 사고 유형과 특징
제2절 인증 개념
1. 인증
2. 전자서명
3. 공인인증
제3절 인증방식의 다양화와 정보보호
1. 정보보호 필요조건
2. 다중요인(Multi-factor) 인증 메커니즘
제4절 선행연구
1. 법제도 연구
2. 보안 기술 연구
3. 인증 연구
제5절 사이버복원력의 개념 및 구성요소
1. 사이버취약성
2. 사이버복원력
제6절 사이버복원력과 인증 보안 연구모형
제3장 국내 인증보안 환경과 거버넌스
제1절 보안환경과 위협
1. 기술환경변화
2. 개인정보 유출
3. 해킹
제2절 인증기술과 제도
1. 공인인증서와 본인 확인
2. 아이핀(i-PIN)
3. 마이핀(My-pin)
4. 모바일 보안토큰(Mobile Token)
제3절 인증보안 예산
제4절 실행 인력
제5절 공인인증 이용실태와 개선 의견
1. 공인인증 이용도와 인지도
2. 공인인증 필요성에 대한 평가
3. 공인인증에 대한 개선 요구 내용
제6절 인증정책과 제도의 디지털 거버넌스
1. 관리체계정비와 가이드라인 강화
2. 범용 식별정보의 활용 위험성 해소
3. 새로운 인증기술 검토와 관리
제4장 해외 인증보안 환경과 거버넌스
제1절 인증보안환경
1. 미국
2. 독일
3. 영국
4. 일본
제2절 기술과 제도
1. 미국
2. EU
3. 독일
4. 영국
5. 프랑스
6. 스웨덴
7. 일본
8. 호주
9. 기타 국가
제3절 각국 인증정책의 특징 및 장단점 비교
제4절 국내외 사이버보안과 인증보안 취약성과 복원력 요인 비교
1. 사이버보안 요인 비교
2. 인증보안 요인 비교
제5장 ICT 융합 환경에서의 인증 보안 거버넌스
제1절 실증연구 조사개요
제2절 전문가 브레인스토밍 및 워크숍
1. 국내 사이버보안환경의 취약요인 및 복원력 제고 요인
2. 국내 인증보안 환경의 취약요인 및 복원력 제고 요인
제3절 AHP 조사
1. AHP 조사 개요
제4절 AHP 조사 결과 및 시사점
1. 사이버보안 취약성
2. 사이버보안 복원력
3. 인증 취약성
4. 인증 복원력
5. AHP 조사 결과 요약 및 시사점
제6장 정책제언 및 결론
제1절 ICT 융합 환경에 적합한 사이버보안 핵심 가이드라인
1. 범정부 사이버보안 복원력 강화 핵심 전략
2. 인증보안 핵심 전략
제2절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