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 정책갈등의 과학적 관리 필요
○ 행정환경의 복잡성 증대 및 다원화로 인한 정책 갈등 발생
○ 다양한 분야의 정책갈등이 ?갈등의 발생?전개?심화?해소?에 걸쳐 복잡하게 상호작용하면서 정부의 갈등 관리 역량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따라서 정책 갈등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갈등의 전 과정
에 대한 과학적 관리 필요
□ 정책갈등에 대한 과학적 지식관리체계 및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 필요
○ 정책갈등 상황의 과학적 관리를 위해, 빅 데이터에 근거한 체계적 갈등 관리의 필요성 증대
○ 국내의 경우, 정책 갈등과 관련된 정보의 관리체계가 구축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빅 데이터 시스템을 활용한 정책갈등 상황 관리가 가능하지 않은 상황. 현행 공공갈등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지식관리 체계
모형에 맞게 재설계할 필요성이 있음
○ 정책갈등 지식관리 빅 데이터 구축을 통하여, 향후 갈등상황을 과학적으로 예측 및 관리할 수 있는 방안 마련 필요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1. 연구범위
2. 연구방법
제3절 연구의 수행체계 및 흐름도
1. 연구 수행체계
2. 연구의 흐름도
제4절 연구의 기대효과
1. 이론적 기대효과
2. 정책적 기대효과
제2장 정책갈등과 지식관리 및 빅 데이터에 관한 이론적 검토
제1절 정책갈등과 지식관리 및 빅 데이터
1. 정책갈등과 정책갈등관리
2. 지식관리
3. 빅 데이터
제2절 정책갈등관리와 지식관리
1. 정책갈등관리와 지식관리의 연계성
2. 정책갈등관리와 지식관리의 제약성
3. 지식관리를 통한 정책갈등관리의 체계화
제3절 정책갈등관리와 빅 데이터
1. 정책갈등관리와 빅 데이터의 연계성
2. 정책갈등관리와 빅 데이터의 제약성
3. 빅 데이터를 통한 정책갈등관리의 예측화
제4절 지식관리와 빅 데이터
1. 지식관리와 빅 데이터의 연계성
2. 지식관리와 빅 데이터의 제약성
3. 빅 데이터를 통한 지식관리의 효율화
제3장 정책갈등 지식관리 체계 실태분석
제1절 지식관리시스템의 현황 및 실태분석
1. 지식관리시스템의 대두 배경과 필요성
2. 민간부문의 지식관리시스템
3. 정부부문 지식관리시스템(GKMS)
4. 행정에서의 지식관리시스템(GKMS)
제2절 빅 데이터의 현황 및 실태분석
1. 빅 데이터의 대두 배경과 필요성
2. 세계 주요 국가의 빅 데이터 정책
3. 기업분야의 빅 데이터 현황분석
4. 빅 데이터 정책 및 공공분야 활용현황
제3절 정책갈등 DB구축 현황 및 내용분석
1. 분석을 위한 비교기준 설정
2. 한국행정연구원 '갈등사례 DB' 분석
3. 단국대 분쟁해결연구센터 '공공분쟁 데이터베이스' 분석
4. 선문대 정부 간 관계연구소 '공공정책 갈등데이터베이스' 분석
5. 한국방송통신대 공존협력연구소 '갈등지도 데이터베이스' 분석
6. 정책갈등 사례 데이터베이스 비교분석 및 주요특징
제4절 외국의 갈등DB 구축사례 분석
1. 외국의 갈등DB 운영현황분석
2. KOSIMO 갈등DB 구축방법 분석
3. 아프리카 사회갈등 DB(SCAD) 구축방법 분석
4. 유럽 시위 및 진압DB(PCD) 구축방법 분석
5. 외국 갈등DB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제4장 정책갈등 지식관리체계 모형구축
제1절 모형설계의 필요성
제2절 모형설계의 기본방향과 분석영역 및 항목선정
1. 모형설계의 기본방향
2. 분석영역 및 항목선정
제3절 분석기준 선정
1. 갈등예방 영역
2. 갈등관리 영역
3. 갈등사후관리 영역
제4절 정책갈등 지식관리체계 분석모형 구축
제5장 정책갈등 지식관리체계 모형의 유용성과 활용방안
제1절 모형적용의 전제와 장단점 분석
1. 모형적용의 전제
2. 모형적용의 장단점 분석
제2절 모형적용을 위한 법령검토
1. 과학적 지식관리체계 관련 법령 개관
2.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3.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4. 공공기관의 갈등 예방과 해결에 관한 규정
제3절 모형의 유용성과 활성화 방안
1. 모형의 유용성 및 기대효과
2. 모형적용의 활성화방안
제6장 결 론
제1절 연구결과 요약
제2절 이론적 시사점
제3절 정책적 시사점
제4절 제도·법적 시사점
제5절 갈등DB의 국제비교에 따른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제6절 모형적용의 한계 및 후속연구
참고문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