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 박근혜 정부의 국정 운영 및 정부혁신의 패러다임인 ‘정부3.0’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추진전략으로 협업 행정이 시도되고 있음
○ 그러나, 정부3.0에 대한 국민체감도가 낮아 협업행정이 구체적으로 국민행복을 실현하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있음
○ 또한 공무원에게는 추가적 업무 발생, 부처할거주의, 협업경험의 부재 등에 따라 협업행정 수행에 부담감이 따름
○ 따라서, 공무원이 협업을 잘 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 역할을 하는 협업 컨설팅 모델을 개발하여 공무원을 지원할 필요가 있음
□ 본 연구는 공공서비스 제공 분야에서 협업 컨설팅 모델을 개발하였음
○ 협업 컨설팅 모델은 공공서비스 제공 협업 유형 개발과 협업 유형별 컨설팅 지표 체계 구축으로 구성됨
○ 분절적인 공공서비스 제공은 비효율적 예산 운영, 국민의 서비스 접근성 저하, 서비스 사각지대 발생 문제를 야기하여 결국 공공서비스에 대한 국민 체감도를 저해함
○ 공무원은 협업이 가장 필요한 영역으로 공공서비스 전달 부문으로 인식(김윤권, 2014), 협업 컨설팅 모델 개발로 공무원의 수요에 부합함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 방법
제2장 이론적 고찰
제1절 협업행정에 관한 이론적 논의
1. 협업행정의 정의
2. 협업행정 관련 선행 연구
3. 협업 활성화 요인
제2절 협업행정과 공공서비스
1. NPM 모델과 공공서비스
2. 공공가치 모형
3.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협업행정
제3절 협업행정 유형의 도출
1. 공공서비스생산을 위한 상호의존성 유형
2. 서비스 제공 방식
3.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협업행정 유형의 도출
제3장 협업행정 추진 현황 및 사례 유형화
제1절 정부3.0과 협업행정 추진 현황
1. 주요 법·제도 분석
2. 협업을 위한 제도적·인프라 지원
제2절 공공서비스제공 사례 유형화
1. 찾아가는 연속형 서비스
2. 찾아오는 연속형 서비스
3. 찾아가는 통합형 서비스
4. 찾아오는 통합형 서비스
제4장 협업유형별 지표 분석
제1절 지표 분석을 위한 사례 선정
1. 찾아가는 연속형 서비스: 행복배달 빨간 자전거 사업
2. 찾아가는 통합형 서비스: 화학재난 합동방재센터
3. 찾아오는 연속형 서비스: 창조경제타운
4. 찾아오는 통합형 서비스: 고용복지플러스 센터
제2절 사례 조사 개요
1. 조사 목적
2. 조사 설계
3. 응답자
4. 조사 내용
제3절 협업 유형별 지표 분석
1. 찾아가는 연속형 서비스
2. 찾아가는 통합형 서비스
3. 찾아오는 연속형 서비스
4. 찾아오는 통합형 서비스
5. 소결 및 시사점
제4절 유형간 지표 비교 분석
1. 구조적 요인
2. 인적 요인
3. 문화적 요인
4. 소결 및 시사점
제5장 개별 사례의 지표별 만족도 조사 및 협업 현황 진단
제1절 행복배달빨간자전거사업
1. 구조적 요인
2. 인적 요인
3. 문화적 요인
제2절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1. 구조적 요인
2. 인적 요인
3. 문화적 요인
제3절 창조경제타운
1. 구조적 요인
2. 인적 요인
3. 문화적 요인
제4절 고용복지플러스센터
1. 구조적 요인
2. 인적 요인
3. 문화적 요인
제6장 결 론
제1절 연구요약
1. 협업 활성화 요인 중요도
2. 협업 유형별 사례 지표 만족도
제2절 정책 제언
1. 협업 활성화를 위한 컨설팅 지표 체계
2. 사례별 협업 현황 진단에 따른 개선 사항
3. 결어
참고문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