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2010년 이후 스마트워크가 공공부문에 본격적으로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워크의 정착이나 성과, 활용 방안 등에 대한 고민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스마트워크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업무를 수행하는 유연한 근무형태로 업무의 효율성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같은해 정부는 공직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삶의 질은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하나로 유연근무제를 도입하였습니다. 이 두 가지 제도는 유연성, 업무효율성이라는 유사한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제도를 연계하고자 하는 노력은 미흡했습니다.
본 연구는 공공부문의 업무방식 개선과 밀접한 스마트워크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습니다. 무엇보다도 공무원 근무혁신의 대안 중 하나인 유연근무제 확대라는 환경 변화속에서 스마트워크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습니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목적
제2절 연구 대상 및 범위
제3절 연구방법
1. 문헌연구
2. 일반 공무원 설문조사
3. 심층 인터뷰
4. 정책방안 수립
제2장 유연근무제와 스마트워크의 개념적 정의
제1절 '스마트'와 스마트 사회
1. 스마트와 스마트 사회의 개념화
제2절 스마트워크와 유연근무제
1. 스마트워크의 개념과 유형 분류
2. 유연근무제의 개념과 유형 분류
제3절 스마트워크의 선행연구 검토
제4절 스마트워크의 활성화 요인 도출
1. 스마트워크의 영향 요인
2. 연구문제의 설정
제3장 연구 설계
제1절 연구모형 설계
제2절 공무원 설문 조사 설계
1. 공무원 설문조사의 설계와 방법
2. 공무원 설문조사의 대상과 방법
3. 공무원 설문조사의 측정 항목
제4장 실증분석
제1절 공무원 설문 분석 결과
1. 응답자 일반 현황
2. 측정지표의 타당성 검증
3. 스마트워크에 대한 공무원 인식
4. 스마트워크와 유연근무제에 미치는 영향요인 검증
5. 소결 : 공무원 설문조사 분석 결과
제2절 심층 인터뷰 분석 결과
1. 심층 인터뷰 조사 개요
2. 심층 인터뷰 분석 결과
3. 소결 : 심층 인터뷰 분석 결과
제3절 스마트워크 활성화 방안 설계
1. 유연근무제와 스마트워크의 연계 전략 : 용어·개념·정의의 명확화
2. 스마트워크의 개선분야별 활성화 방안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제1절 연구 요약
제2절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