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협업은 정부 3.0에서 강조되고 있는 중요한 가치 중의 하나입니다. 뿐만 아니라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정책적 난제(Wicked problem)의 해결을 위해 제도와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고 효율성과 효과성을 담보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부처 간 협업입니다.
부처 간 협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협업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나 협업 평가가 부처 간 협업을 공정하게 평가하고 있는지, 협업 유인체계로서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2013년부터 실시되고 있는 다양한 협업 평가제도를 분석하였고, 협업 평가와 관련한 다양한 관계자들과의 인터뷰 분석을 통해 현재 실시되고 있는 협업평가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제2절 연구 목적 및 내용
1. 연구 목적
2. 연구 내용
제3절 연구방법
1. 연구 범위
2. 연구 방법
제2장 협업에 대한 이론적 고찰
제1절 협업 개념과 유형, 필요성
1. 협업의 개념과 유형
2. 협업의 필요성
제2절 행정협업의 시대적 요구와 환경적 변화
1. 행정협업의 등장과 행정협업의 개념
2. 행정협업의 활성화 요인
제3절 행정협업의 모델과 전략
1. 행정협력의 장애요인과 성공요인
2. 행정협력의 모델
제3장 협업 평가의 제도적 분석과 협업매뉴얼 분석
제1절 정부 3.0과 협업, 그리고 평가
1. 정부 3.0과 협업
2. 협업의 평가
제2절 정부업무평가에서의 협업평가
1. 정부업무평가제도와 협업
2. 정부업무평가제도에서의 협업평가
3. 정부업무평가의 결과 중 부처 간 협업 평가 결과
제3절 (기타) 법규에서의 협업 및 평가
1.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
2. 정부조직 관리지침
3. 공무원 성과평가 등에 관한 지침
4. 협업 포인트 제도와 협업 포인트 운영규정
제4절 협업 유인기제로서의 협업매뉴얼 분석
1. 협업 유인기제로서 협업매뉴얼의 필요성 및 역할
2. 협업매뉴얼 분석
3. 소결
제4장 협업평가 개선을 위한 우수 협업사례 내용분석
제1절 2014년도 총리실 협업 우수사례 분석
1. 협업사례 분석의 필요성
2. 협업의 다양성, 협업에 대한 다양한 관점
3. 협업연구의 한계, 협업분석의 문제점
제2절 협업이론 및 협업평가제도와 실제 협업실태의 비교
1. 협업가치의 달성수준
2. 협업목표의 다양성
3. 협업방법의 중첩성
제5장 협업행정 관련 실태분석(주요 사례)
제1절 주요국 협업행정 관련 실태분석(주요 사례)
1. 미국
2. 영국
3. 캐나다
4. 호주
5. 해외사례를 통한 제언
제2절 민관 협업사례
1. 협치서울 2.0
2. 공유도시 서울
제6장 협업평가 관련자 및 전문가 조사분석
제1절 협업평가 관련자 분석
1. 협업평가자
2. 협업업무 담당자(피평가자)
제2절 협업 전문가 분석
제3절 협업업무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종합)
제7장 현장 협업 활성화를 위한 협업평가 개선방안
제1절 협업평가 제도 개선방안
1. 협업평가 지표 및 평가방식의 개선
2. 협업평가 결과활용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
제2절 매뉴얼, 지침 등 협업 활성화를 위한 기타 개선방안
제8장 결론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