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행정연구원

전체메뉴

닫기

HOME > 연구자료 > 연구보고서 > 기본연구과제

기본연구과제

기본연구과제 상세보기
거버넌스와 한국사회 신뢰 수준에 관한 연구
보고서명(영문) Research on Governance and Trust in Korean Society
연구책임자 송진미 발행기관 한국행정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왕영민, 김우현 외부연구참여자 오수길, 임기흥, 신인철, 이성락
출판년도 2021 수행년도 2021
페이지 285 ISBN 978-89-5704-762-0
보고서 유형 기본연구보고서 연구 유형 기초
주제 분류 사회통합 자료 유형 연구보고서
등록일 2021-12-06 조회수 2129
관련 설문조사 조사통계 바로가기
연관검색어 거버넌스 거버넌스 평가 정부신뢰 사회신뢰  
첨부파일

바로보기 다운로드



국문초록

사회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그 모습이 다양해지면서 기존의 방식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증가
- 사회가 변화하고 그 모습이 다양해지면서 사회문제 또한 다양해짐
- 지역별 불균형한 인구 구조 및 발전, 노동시장 불균형과 고용 문제 등이 대두
-  코로나19와 같은 예상하지 못한 재난이나 재해 발생 시에는 집단이나 지역에 따라 발생하는 사회문제가 다르고, 신속한 대응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집단이나 지역 단위의 세부적인 정책 운영이 중요

환경이나 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해당 문제가 주요 사회문제로 떠오르는 등 가치관 변화에 따라 사회 문제에 대한 중요도가 달라짐
- 사회문제 대응과 해결을 위한 거버넌스에 주목하고, 우리나라의 거버넌스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 필요함

본 연구의 목적은 거버넌스 수준과 정책 영역별 평가,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조건들에 대해 분석하는 것
- 거버넌스를 분석 수준에 따라 국가와 지방으로 구분해 국가 거버넌스와 지방 거버넌스로 구분해 분석
- 거버넌스의 조건으로 사회적 자본에 주목하고, 그 중에서도 우리나라의 신뢰 수준에 대한 인식과 이것이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
- 3년 단위 정기 조사를 통해 국민들의 거버넌스에 대한 인식과 사회 및 기관 신뢰도에 대한 자료를 축적하고, 이를 통해 변화를 파악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목표


*이하 원문 확인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연구배경

제2장 선행연구 및 이론적 검토
제1절 거버넌스에 관한 이론적 검토
제2절 신뢰에 관한 이론적 검토

제3장 연구 설계
제1절 조사 개요
제2절 설문 구성
1. 거버넌스 수준에 대한 평가
2. 신뢰수준
3. 응답자 특성

제4장 분석 결과
제1절 거버넌스 수준 분석 결과
1. 거버넌스 수준에 대한 평가
2. 거버넌스 환경에 대한 평가
3. 주민의 정치사회 참여, 관심, 효능감
제2절 신뢰수준 분석 결과
1. 정부와 기관 신뢰, 사회 신뢰 수준 분석
2. 청렴도, 공정성, 포용성
3. 주민의 사회적 연결망과 소속감
제3절 거버넌스와 한국사회 신뢰수준
1. 거버넌스 수준 영향요인 분석
2. 신뢰수준 영향 요인 분석
3. 정부신뢰, 사회신뢰, 거버넌스 인식 간 상호관계분석
제4절 거버넌스와 사회적 포용성 및 공정성

제5장 결론
제1절 연구결과 요약
제2절 정책적 제연
제3절 연구의 한계


연구책임자의 다른 발간물

기본연구과제의 번호, 제목, 연구책임자, 년도, 전문, 조회수 안내

기본연구과제 목록
제목 연구책임자 년도 전문
해당 자료가 없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리며 답변이 필요한 의견은 묻고답하기 게시판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담당부서 : 전략기획팀
  • 담당자 : 우소현
  • 문의사항 : 02-2007-0689

맨위로 이동

COPYRIGHT ⓒ 2022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LL RIGHTS RESERVED
(우)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35 대표전화 02)564-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