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연구는 그동안 단편적이고 산발적으로 연구해 온 중국의 행정 및 공공정책을 보다 체계적.분석적으로 접근하여 중국의 행정과 공공정책에 대한 발견의 맥락과 타당서의 맥락을 도출하고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중국의 행정환경, 행정체계와 과정, 공공정책에 대한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하고 행정이론과 실무에 유용한 제도적.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첫째, 중국정부를 둘러싼 행정환경을 연구한다. 여기서 중국의 역사적 배경, 지리적 환경, 사회문화적 환경, 경제적 환경 등 인문·사회적 환경을 이해한다. 이어서 중국의 헌법, 행정법, 정부조직법 등을 통해 중국의 법률적 기반을 이해한다. 그리고 중국의 정부형태, 정치제도, 정치과정 및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를 통해 중국정부의 조직 내외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다.
둘째, 중국의 행정체계와 과정을 연구한다. 다양하고 복잡한 행정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정부는 행정자원이나 행정수단을 동원하며, 이는 행정체계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국의 행정체계와 과정은 행정조직 및 행정문화, 인적자원관리, 예산과 재정, 정부간 관계와 지방행정, 전자정부, 행정통제를 통해서 운영되고 관리되며, 이에 관한 내용이 체계적으로 담겨질 것이다.
셋째, 중국의 행정환경의 변화와 이에 따른 중국 인민과 사회의 복잡하고 다양한 행정수요를 해결하기 위한 중국정부의 핵심 정책을 연구한다. 우선 중국의 공공정책과정을 통해 중국 공공정책의 특수성을 이해하며, 이어서 분야별로 중국정부가 추진하는 외교·안보정책, 경제·산업·과학기술정책, 보건·복지·환경정책, 그리고 교육·문화정책을 심도 있게 다룰 것이다.
목차
제 1 편 총 론(김윤권)
제 1 장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제 2 장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 2 편 중국의행정 환경
제 1 장 중국의 인문·사회적 환경 (고영근)
제 2 장 중국의 헌법 및 법률적 기반 (李秀峰)
제 3 장 중국의 정치체제 및 거버넌스 (李秀峰)
제 3편 중국의행정체계와 과정
제 1 장 중국의 행정조직 및 행정문화 (김윤권)
제 2 장 중국의 인적자원관리 (이재호)
제 3 장 중국의 예산과 재정 (駱 奇)
제 4 장 중국의 정부간 관계와 지방행정 (박재욱)
제 5 장 중국의 전자정부 (李傳軍)
제 6 장 중국의 행정통제 (李秀峰)
제 4 편 중국의공공정책
제 1 장 중국의 공공정책과정 (최월화)
제 2 장 중국 외교·안보정책 (이태환)
제 3 장 중국의 경제·산업·과학기술정책 (정영록)
제 4 장 중국의 보건·복지·환경정책 (조흥식)
제 5 장 중국의 교육·문화정책 (范 紅)
제 5 편 한국에 대한 시사점(김윤권)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