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우리나라는 짧은 기간에 산업화와 민주화를 성취한 세계적인 모범국가입니다. 따라서 전 세계의 많은 국가들이 우리나라의 성공사례를 배우기 위하여 몰려들고 있으며, 우리 한국행정연구원에서는 이러한 행정한류를 전 세계에 전파하기 위해 노력하여, 많은 성과를 아시아와 아프리카 및 남미의 여러 나라에서 거두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국내실정으로는 권위주의가 해체되고 민주주의 사회로 진입하면서, 과거의 역사적 유산 속에서 유래한 여러 가지 형태의 갈등들이 분출되고 있습니다. 즉, 경제적 격차로 인한 사회 양극화 현상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기되고 있으며, 이념의 차이로 인한 진보와 보수 갈등 및 노동자와 사용자 사이의 노사갈등, 그리고 가치관의 차이로 나타나는 세대 간 갈등 등이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현재 외국인 근로자 및 탈북 새터민들의 국내 유입 증가 등으로 인하여, 다양한 인종적·사회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공존하는 다문화사회로 이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 사회는 사회통합에 대한 연구와 다양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는 통합정책의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우리 사회의 사회통합관련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사회통합실태조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사회통합에 관한 조사이며, 통계청에서 승인한 국가승인통계조사로서, 우리나라의 통합 수준을 다차원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사회통합의 수준을 ‘역능성(권리부여)’, ‘사회 참여’, ‘정치 참여’, ‘사회적 소통’, ‘신뢰’, ‘공정성’, ‘관용성(사회적 포용)’, ‘사회보장’ 등 8개 하위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을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책자는 2014년 올해의 조사결과를 분석한 자료집입니다.
목차
Ⅰ 조사개요
1. 조사목적
2. 조사연혁
3. 법적근거
4. 조사주기
5. 조사시기
6. 조사기관
7. 조사대상
8. 조사방법
9. 조사부문
10. 조사항목
11. 주요 용어 정리
12. 응답자 특성별 분포
Ⅱ 표본설계 및 모수추정
1. 모집단 정의
2. 표본추출틀
3. 모집단 층화
4. 표본크기 결정
5. 표본배분
6. 표본추출
7. 가중치 산정
8. 모수추정
Ⅲ 조사결과 분석
1. 역능성(권리부여) 부문
2. 사회 참여 부문
3. 정치 참여 부문
4. 사회적 소통 부문
5. 신뢰 부문
6. 공정성 부문
7. 관용성(사회적 포용) 부문
8. 사회보장 부문
Ⅳ 연도별 분석
1. 역능성(권리부여) 부문
2. 사회 참여 부문
3. 정치 참여 부문
4. 사회적 소통 부문
5. 신뢰 부문
6. 공정성 부문
7. 관용성(사회적 포용) 부문
8. 사회보장 부문
Ⅴ 통계 결과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