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2020년 인류가 직면한 팬데믹 상황은 사회통합에 큰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COVID-19로 인한 경제적 충격은 저소득층, 노년층 등 특정 계층의 삶을 더욱 힘들게 하고, 사회적 거리 두기는 사람들의 정신적 스트레스를 높이면서 사회적 관계망을 약화시키고 있습니다. 국민 모두가 함께 잘 살고 누구도 차별이나 배제를 받지 않는 포용적 사회로의 전환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사회통합은 국민의 삶의 질 증진과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의 핵심 요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회구성원들이 민주주의와 시장경제가 공정하게 운영되고 있다는 믿음 위에 서로 원활히 소통하는 가운데에서만 사회 전체의 행복감이 높아지고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할 것입니다. 따라서 사회구성원들 사이의 결속과 포용을 높이고 갈등을 줄이고자 하는 정부의 노력은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습니다.
효과적인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회의 현재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할 것입니다. 사회통합의 수준을 진단하고 어떠한 영역에서 문제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과학적인 모니터링이 있은 다음에야 적실한 정책을 고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행정연구원의 사회통합실태조사는 이렇게 사회통합의 수준을 파악하고 문제를 진단하며, 원인 파악과 처방을 위한 적절한 근거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매년 실시됩니다.
본 조사는 국가승인통계로서 작성되고 있으며, 2013년 이후 매년 우리 사회의 통합 수준을 영역별로 측정해오고 있습니다. 2020년 조사에서는 기존의 주관적 웰빙 및 역능성(권리부여), 사회 참여, 정치 참여, 사회적 소통, 신뢰, 거버넌스, 공정성, 관용성(사회적 포용), 사회보장 등 9개 부문을 그대로 유지하고 일부 설문문항을 추가하였습니다.
목차
Ⅰ. 조사개요
1. 조사목적
2. 조사연혁
3. 법적근거
4. 조사주기
5. 조사시기
6. 조사기관
7. 조사대상
8. 조사방법
9. 조사부문
10. 조사항목
11. 주요 용어 정리
12. 응답자 특성별 분포
Ⅱ. 표본설계 및 모수추정
1. 모집단 정의
2. 표본추출틀
3. 모집단 층화
4. 표본크기 결정
5. 표본배분
6. 표본추출
7. 가중치 산정
8. 모수추정
Ⅲ. 조사결과 분석
1. 주관적 웰빙 및 역능성
2. 사회 및 정치참여
3. 소통과 신뢰
4. 거버넌스와 공정성
5. 관용성과 사회갈등
6. 사회보장
Ⅳ. 통계결과표
Ⅴ. 부 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