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연구원 인스타그램으로 바로 이동합니다.
"정부부문 생성형 AI 챗봇 활용현황 및 전망에 관한 공무원 인식 조사"
2023년 제3호(통권18호) 국정데이터조사센터 데이터 브리프(DATA BRIEF)에서는
정부부문에서의 생성형 AI 챗봇 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생성형 AI 챗봇 활용에 대한
공무원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향후 발전 방향을 전망해보고자 한다.
1. 생성형 AI 챗봇의 업무 활용 계기와 빈도는?
• 생성형 AI 챗봇은 한 달에 1~3번 활용되는 경우가 많았음
• 생성형 AI 챗봇의 업무활용 유경험자들의 활용 계기는 “ 개인적 호기심”이 가장 높았음
• 생성형 AI 챗봇을 업무에 활용해보지 않은 경우, 그 이유가 낮은 업무 관련성과 충분한 이해 부족 때문이라는 의견이 많았음
2. 생성형 AI 챗봇 활용자들이 체감한 이점과 장애요인은?
• 생성형 AI 챗봇의 업무 활용 상 가장 큰 이점은 “속도 향상”과 “업무의 질 향상”, “새로운 아이디어 도출”이라는 의견이 높았음
• 생성형 AI 챗봇 업무 활용의 장애요인은 “응답 내용의 신뢰성”, “검증 부담”, “응답 내용의 낮은 효용” 순(생성형 AI 챗봇
그 자체의 성능과 관련된 문제)으로 나타남
• “활용 과정의 번거로움”의 경우, 중앙부처 공무원들이 광역/기초 지자체 공무원들에 비해 크게 인식함
3. 생성형 AI 챗봇은 어떨 때 유용하다고 인식되고 있는가?
• 생성형 AI 챗봇의 정부부문 도입 및 활용이‘ 중요하다’는 인식은 67.2%로 높게 나타났으며, ‘시급하다’는 인식은 38.7%로
조사됨
• 생성형 AI 챗봇을 업무에 활용해본 집단이 중요성과 시급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남
• 생성형 AI 챗봇이 유용한 업무분야로 업무관련 정보 및 자료 검색이 가장 높게 인식되고 있었으나, 차순위로 유경험자들은
초안 작성, 미경험자들은 데이터 분석 및 예측을 지목함
4. 개인과 조직은 생성형 AI 챗봇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
• 생성형 AI 챗봇에 대한 조직의 관심과 지원수준은 "보통 이하"로 인식되고 있음
• 공무원들의 AI 챗봇의 업무상 활용에 대한 조직 내 분위기는 아직 "보통" 수준
5. 생성형 AI 챗봇 정부부문 도입에 관한 공무원들의 전망은?
• 향후 생성형 AI 챗봇은 업무보조수단 및 정책/사업 기획수단으로 활용될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음
• 향후 정부부문에서의 생성형 AI 챗봇 활용과 관련하여 “정보의 정확성”과 “보안 유지”에 대한 우려가 높았음
• 활용도 제고를 위해 “가이드라인 제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52.2%
6. 요약 및 정책적 함의
• 생성형 AI 챗봇의 업무 활용성은 향상될 여지가 높음
• 생성형 AI 챗봇의 업무 활용에 기술적·제도적 한계에 대한 이해 필요
• 자율적 활용 분위기를 조성하고 조직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이 활용도 제고에 적합
• 생성형 AI 챗봇의 안정적 활용을 위한 제도적 정비 필요
─────────────────────────────────────────────────────────────
✅ 관련기사
정부 문서 초안, 챗GPT가 쓴다? (서울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