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 경>
■ 한국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2020년 코로나 19 팬데믹 사태에 가장 잘 대응한 성공적 국가로 인정받고 있음
- 세계적 주간지 Time은 한국이 도시 봉쇄 등 극단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일상을 유지하면서 코로나 19에 대응했던 이유를 한국 정부의 경쟁력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함 (Time, 2020)
-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2020년 3월 25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한국의 코로나 19 방역 정책을 가장 ‘최고의 모델 (best model)’이라고 평가함 (White House, 2020)
- UN은 2020년 5월 1일 한국의 covid 19 방역 사례를 성공 사례 (success story)로 평가하고 성공요인의 범세계적 확산을 위하여 한국 정부와 공조할 것을 천명함 (UN News, 2020)
■ 그러나 방역 컨트롤 타워의 혼재, 역학 전문 조사관의 부족 등 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정부 조직 구조상의 문제가 잔존함 (Medical Times, 2020)
- 향후 이러한 위기가 발생할 시 이에 대한 대비 차원에서 무엇이 문제였는지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이나 대안을 생각해 볼 필요 있음
- 또한 코로나 19로 전 세계의 경제・사회가 멈춰 버린 상황 속에서 코로나 19가 종식되더라도 결코 이전의 상태로 돌아갈 수 없다는 회색빛 전망이 지배적인 가운데, 향후 코로나 19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세계질서에서 경쟁적 우위를 점유하기 위한 각 국가의 노력이 치열하게 전개될 것이라고 생각됨
■ 이에 따라 우리나라 정부도 방역 선진국에서 세계 경제・사회 선진국으로의 위치를 확고히 하기 위한 코로나 19 이후 국가혁신 전략을 마련해야 할 시기임
- 특히, 국가혁신의 중추적 도구로서 정부조직의 혁신적이고 효율적 관리는 매우 중요함. 기존의 정부조직은 산업화 시대의 기능적 분류와 체계 하에서 점차 세분화되면서 거대하게 성장하였음
- 코로나 19 이후의 정부조직은 새로운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하고 새롭게 변화된 사회 속에서 다양한 국가적 난제들을 빠르고 적절하게 해결해 낼 수 있는 유연하고 신속성을 가진 조직으로 변모될 필요가 있음
<목 적>
■ 본 이슈 보고서는 코로나 19로 인한 경제・사회 환경변화의 양상을 분석해 보고 이를 토대로 국가 혁신의 방향성을 정의한 후, 이를 위한 중요한 도구(Tool)로서 정부조직관리의 방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음.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자 함
- 첫째, 코로나 19 이후 우리나라에 미치는 다양한 환경 변화 요인과 내용을 분석하고 향후 국가혁신의 방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함
- 둘째, 코로나 19 대응시 정부 조직관리와 의사결정상 나타난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해 2020년 1월 1일부터 5월 3일까지의 뉴스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과 사례분석을 수행함
- 셋째, 환경분석 및 빅데이터 분석 등을 고려하여 코로나 19 이후 단기적 관점에서의 정부조직관리 방향을 제안함
- 넷째, 코로나 19 이후 중장기적 관점에서 조직관리 방향을 3CDS 모형을 제시하여 제안하였음
<목 차>
Ⅰ. 서론
Ⅱ. 코로나 19와 국가 혁신 방향
Ⅲ. 정부조직관리와 의사결정상 문제점 : 코로나 19 대응 사례를 중심으로
Ⅳ. 코로나 19 이후 단기 정부 조직관리 방향
Ⅴ. 코로나 19 이후 중장기 정부 조직관리 방향
Ⅵ.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