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배경 및 목적
2. 재난보도 반복 문제의 양상과 원인
3. 재난보도 반복 문제 개선을 위한 과제
<요약>
‘재난보도’는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안전과 일상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정확한 재난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는 언론 활동으로, 재난 대응 과정에서 대국민 소통의 핵심 매개체 역할을 수행.
책임 있는 재난보도를 위해서는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제공, 보도의 형평성 확보, 사회적 공감과 윤리 준수, 재발 방지를 위한 심층보도 등 명확한 원칙 확립과 이행이 필요.
2014년 진도 해상여객선(세월호) 침몰 사고를 계기로 「재난보도준칙」이 제정되어 재난 피해 상황에 대한 보도 혼선 등 일부 문제는 완화되었으나, 여전히 ① 단발성 보도 및 단순 정보 전달, ② 지역 편향성, ③ 자극적·흥미 위주의 보도 문제가 반복.
우리나라 재난보도 주요 반복 문제는 다음과 같은 복합적 요인에 기인:
① 언론사의 재난보도 전문성 부족, 재난관리당국의 제한적 재난정보 제공, ② 수도권 중심의 보도 편성 기준, 지역 간 제보・자료 접근성 격차, ③ 속보 경쟁 속 보도자료 사전 검토 기능의 부재, 「재난보도준칙」의 이행력 부족.
본 이슈페이퍼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과제로 다음을 제시:
△ 언론인 실무 중심 교육체계 구축과 인센티브 제도 도입, △ 재난정보 공개 수준 확대를 통한 심층보도 기반 강화, △ 언론사 재난보도 매체의 다양화, △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 중심 지역 언론 협력 네트워크 구축, △ ‘현장 취재협의체’의 실질적 운영을 통한 보도자료 스크리닝 기능 강화, △ 「재난보도준칙」 이행력 강화를 위한 언론사 평가 및 심의 기준 정비, △ SNS・유튜브・온라인 등 디지털플랫폼 인용 보도 사전 검토 기준 마련 및 평가・심의와의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