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OPL 정책공동창안 툴킷 가이드 북을 활용하시기 위해서는 첨부파일의 신청 및 서약서를 작성하시어, hsw106@kipa.re.kr로 발송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본 보고서는 한국행정연구원 행정혁신연구실이 2023년도에 운영한 열린정책랩 (Open Policy Lab: OPL) 운영과정과 결과를 기록한 것으로 총 3권의 세부 보고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23년도의 OPL은 디지털 트윈 활성화를 위하여 구성한 2개의 워킹그룹, 그리고 1개의 OPL 방법론 워킹그룹을 운영하였습니다.
워킹그룹의 운영과정과 논의결과 및 정책제언 등을 세 권의 보고서로 제시하였습니다.
1. 결과보고서
1) 주요내용: 디지털 트윈 기술 생태계 활성화와 정책역량 강화 방안 마련을 위한 위한 환경분석 및 정책수요자, 현장전문가, 공무원으로 구성된 워킹그룹 워크숍 운영 결과를 정리하여 제공함
- WG1: 디지털 트윈 기술 생태계 활성화
- WG2: 디지털 트윈 활용 정책역량 강화
2) 작성목적: 열린정책랩(OPL) 워킹그룹 운영 결과 발굴한 정책의제안을 제시하며, 이를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한 정책환경 분석 내용 및 워킹그룹 구성과 운영, 논의과정 등을 수록
2. 의제보고서
1) 주요내용: 결과보고서에서 제안한 정책의제 및 전략안의 개요와 기대효과 등 핵심내용 요약
2) 작성목적: 정책의제 및 전략안의 제안 배경 및 실행방안에 대한 간결명료한 전달을통해 핵심 수요부처와의 심층적 논의와 숙성에 도움 제공
3. 방법론 보고서 – 열린정책랩 툴킷 가이드북(WG3: 개방형 플랫폼 기반 정책 프로세스 운영을 위한 툴킷 고도화)
1) 주요내용: 개방적, 협력적, 현장지향적 정책의제를 발굴하기 위한 열린정책랩을 효과적으로 운영함에 있어 필요한 워크숍 지원 도구를 고도화하고 툴킷 활용을 확산하기 위한 가이드 작성
2) 작성목적: 개방적, 협력적, 현장지향적 정책의제 발굴에 관심 있는 공무원 및 공무원 대상 교육자, 워크숍 지원 퍼실리테이터 등 관계자들이 정책의제 발굴 과정에 필요한 도구를 유용하게 쓸 수 있도록 확산시키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