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행정연구원

전체메뉴

닫기

HOME > 연구자료 > 연구보고서 > 수시연구과제

수시연구과제

기본연구과제 상세보기
정부3.0 민관협업 우수사례 연구
보고서명(영문) -
연구책임자 김윤권, 김정해, 임성근, 윤선영, 권경환 발행기관 한국행정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지규원 외부연구참여자 -
출판년도 2016 수행년도 2016
페이지 130 ISBN -
보고서 유형 - 연구 유형 -
주제 분류 조직,인사 자료 유형 연구보고서
등록일 2016-11-14 조회수 912
관련 설문조사 -
연관검색어 -
첨부파일

바로보기 다운로드



국문초록

연구의 필요성

1. 연구의 배경
글로벌 난제(wicked issues)와 복잡한 행정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이제 어떠한 행위자(팀, 부서, 부처, 기관, 정부 등)도 단독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 되면서 정부운영의 근본적인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 미국의 열린 정부(Open Government), 캐나다의 연계정부(Connected Government), 영국의 공동정부(Joined-up Government), 호주의 범정부(Whole of Government) 등은 이러한 글로벌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려는 각국의 정부운영 패러다임 흐름과 괘를 같이 한다.
박근혜 정부가 주창하고 추진하는 정부3.0 역시 글로벌 정부운영의 패러다임과 일맥상통하는 흐름이라 할 수 있다. 국내외 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등장하는 다양한 행정수요와 정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전 개별 행위자로는 더 이상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칸막이(silo)를 제거하고 협업을 활성화하여 난제와 정책문제 그리고 행정수요를 해결하려는 맥락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013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정부3.0이 4년차에 진입하면서, 동시에 정부3.0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하는 협업에 대한 관심이 더욱 많아지고 있다. 정부3.0의 핵심 목표인 투명한 정부, 유능한 정부, 서비스 지향정부로 구성되며, 이러한 목표는 개방·공유·소통·협력으로 수행되고 있다. 여기서 개방·공유·소통·협력은 협업과 매우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협업은 정부3.0과 필수불가결한 관련을 맺으며, 결국 정부3.0은 협업으로부터 시작하고 협업으로 완결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정부3.0에서 핵심 키워드라 할 수 있는 협업은 중앙부처, 지자체, 그리고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성공사례들이 축적되면서 정부3.0의 가시적인 성과가 드러나고 있다. 그러나 상당수 협업 사례들이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내부 혹은 이들 간에 발생할 뿐, 정작 정부3.0 취지에 부합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는 공공부문과 민관부문, 즉 민관협업은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민관협업의 우수사례를 대상으로 이들의 성공요인은 무엇이고, 이들의 장애요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민관협업을 보다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2. 연구의 목적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정부3.0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핵심 접근으로 협업에 주목을 하고 특히, 민관협업의 우수사례의 성공 및 제약 요인을 분석하여 이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구성상 Ⅱ에서는 민관협업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고, Ⅲ에서는 민관협업의 우수사례를 개방·공유, 소통·협력, 참여·조정, 지원·기여, 해결·해소라는 유형으로 구분하여 해당 분야의 우수사례를 분석한다. Ⅳ에서는 민관협업을 보다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이론과 사례를 논거로 제시한다. Ⅴ에서는 결론 및 정책제언을 제시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1. 연구의 방법
2. 연구의 범위
제3절 연구의 기여 및 흐름도
1. 연구의 기대효과
2. 연구의 흐름도

제2장 민관협업 관련 이론적 검토

제1절 정부3.0과 협업
1. 정부운영의 새로운 패러다임
2. 정부3.0
3. 정부3.0과 협업
제2절 민관협업의 이론적 검토
1. 민관협업의 의의
2. 민관협업의 효용
3. 민관협업의 요건
4. 민관협업의 제약요인
5. 민관협업의 성공요인
제3절 본 연구의 분석 틀
1. 사례 유형분류
2. 우수사례 선정 기준
3. 본 연구의 사례분석 기준 및 고려 요소

제3장 민관협업 우수사례 분석

제1절 개방·공유 관련 사례 분석
1. 우수사례: 주차장 공유사업 사례
2. 유사사례 (1) : 광주시 ‘공유문화도시’ 조성 사례
3. 유사사례 (2) : 광주시 ‘마을분쟁 해결센터’ 사례
제2절 소통·협력 관련 사례 분석
1. 우수사례: 포트홀 실시간 신고서비스 사례
2. 유사사례 (1) : 부안군 마실 일사천리 복지서비스
3. 유사사례 (2) : 교통 데이터와 이동통신 빅데이터 결합 운영
제3절 참여·조정 관련 사례 분석
1. 우수사례: 도로입양 사례
2. 유사사례 (1) : 경상남도 행복홀씨 입양사업 참여 사례
3. 유사사례 (2) : 서울시 골목길 자율 청소책임제
제4절 지원·기여 관련 사례 분석
1. 우수사례: 선도 지역 창원시 도시재생사업
2. 유사사례 (1) : 사상구 장학동 붉은디 안전마을사업
3. 유사사례 (2) : 금융기관용 신분증 진위확인 통합서비스
제5절 해결·해소 관련 사례 분석
1. 우수사례: 공공요금 할인 수혜율 제고 협업 사례
2. 유사 사례 (1) : 양평군 ‘달리는 행복돌봄 이웃들’(달팽이)
3. 유사 사례 (2) : 경기 광주시 독거노인 안부 확인

제4장 민관협업 활성화 방안

제1절 민관협업의 활성화 방향
1. 민관협업 추진 준비
2. 민관협업 과정
3. 민관협업 관리
제2절 민관협업 사례별 활성화 방안
1. 개방·공유 관련 민관협업 활성화 방안
2. 소통·협력 관련 민관협업 활성화 방안
3. 참여·조정 관련 민관협업 활성화 방안
4. 지원·기여 관련 민관협업 활성화 방안
5. 해결·해소 관련 민관협업 활성화 방안

제5장 결어

참고문헌


연구책임자의 다른 발간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리며 답변이 필요한 의견은 묻고답하기 게시판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담당부서 : 전략기획팀
  • 담당자 : 강예림
  • 문의사항 : 02-2007-0630

맨위로 이동

COPYRIGHT ⓒ 2022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LL RIGHTS RESERVED
(우)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35 대표전화 02)564-2000

홍보동영상
영상자막:
한국행정연구원은 1991년 ‘사람’ 중심의 국가발전을 위한 국정운영과 행정개혁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지난 30년간 국정평가, 규제혁신, 사회통합, 정부조직 등 연구 영역을 확장해왔습니다.
매년 100여건의 연구과제를 선정하여 수행하고 있는 한국행정연구원은
다양한 분야에서 각 부처로부터 전문연구기관으로 지정받으며
대한민국 정부 정책을 주도하는 씽크탱크로 성장해 왔습니다.
한국행정연구원은 1991년 ‘사람’ 중심의 국가발전을 위한 국정운영과 행정개혁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지난 30년간 국정평가, 규제혁신, 사회통합, 정부조직 등 연구 영역을 확장해왔습니다.
매년 100여건의 연구과제를 선정하여 수행하고 있는 한국행정연구원은
다양한 분야에서 각 부처로부터 전문연구기관으로 지정받으며
대한민국 정부 정책을 주도하는 씽크탱크로 성장해 왔습니다.
2021년 설립 30주년, 미래행정의 새로운 30년을 준비하기 위해 다시 나아갑니다.
불확실하고 복잡해지는 정책환경 속에서 국민 수요에 맞는 국정운영 정책과 제도 개발로 유능한 정부 구현에 이바지 하고 공공가치 실현을 위한 연구를 통해 사회갈등 해소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나아가 행정한류 확산에 앞장서, 높아진 대한민국의 위상을 걸맞는 국제협력사업을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국민과 함께 성장하며 다 함께 잘 사는 대한민국을 위해 미래 행정이 새롭게 달라집니다.
공공성 강화를 위한 융합적 정책연구 선도기관 한국행정연구원, 새롭게 시작합니다.
미래 정부구조 재설계
대내외 융복합 연구를 통한 미래 지향 행정연구 수행
공공가치 강화를 위한 시스템연구
공공리더십 연구 및 확산
영상자막: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was established in 1991 under the mission of achieving national progress centered on public wellness through research on government operation and administrative reform.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e have continued to expand our scope of research into government operation assessment, regulatory reform, social integration, and government organization.
Engaging in more than 100 carefully selected research projects each year, we have been designated by various government ministries as an expert research institution and developed into a thinktank that takes initiative in crafting advanced government policies.
With our 30th anniversary in 2021, we are preparing to take another leap forward and continually thrive over the next three decades.
We will focus our resources on develop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that pinpointedly cater to the needs of the public amid growing uncertainty and complexity t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government’s administrative competence and on executing research aimed at realizing public values to resolve social conflicts.
We will also push ahead with international cooperation projects that promote the excellence of Korea’s public administration and further raise the nation’s international standing.
We will strive to elevate public administration to new heights to advance a nation of co-growth and co-prosperity.
KIPA – a leader in convergence policy research to reinforce public wellness
We will never stand still in taking on new challenges.
Redesigning the future government structure
Conducting forward-looking administrative research based on convergence studies
Engaging in research on systems aimed at reinforcing public values
Executing and disseminating research on public leader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