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행정연구원

전체메뉴

닫기

HOME > 연구자료 > 연구보고서 > 공공리더십연구

공공리더십연구

기본연구과제 상세보기
세종의 서번트 리더십
보고서명(영문) -
연구책임자 윤종설 발행기관 한국행정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김세진, 최유성, 문 명, 황은진 외부연구참여자 -
출판년도 2021 수행년도 2021
페이지 324 ISBN -
보고서 유형 공공리더십연구 연구 유형 기타
주제 분류 조직,인사 자료 유형 연구보고서
등록일 2022-08-08 조회수 860
관련 설문조사 -
연관검색어 -
첨부파일

바로보기 다운로드



국문초록

1. 연구의 의의
  □ 연구의 목적
  □ 연구의 내용
2. 이론적 검토
  □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과 구성요소
  □ 서번트 리더십의 연구 경향
  □ 서번트 리더십 연구설계도 도출
3. 연구 설계
  □ 사례의 선정
  □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적 분석틀’의 자체 개발
4. 세종의 서번트 리더십: 개별적 사례 분석
  □ 분석 결과의 요약
5. 세종의 서번트 리더십: 종합적 사례 분석
  □ 분석 결과의 종합
  □ 현대적 함의
6. 연구의 공헌 및 한계
  □ 연구의 공헌
  □ 연구의 한계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3
    1. 연구의 배경 3
    2. 연구의 목적 9
  제2절 연구의 방법과 내용 11
    1. 연구의 방법 11
    2. 연구의 내용 12
제2장 이론적 배경 15
  제1절 서번트 리더십 17
    1.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 17
    2. 서번트 리더십의 구성요소 21
      1) Spears(1995)의 서번트 리더십 구성요소 21
      2) Laub(1999)의 서번트 리더십 측정도구 개발 연구 23
      3) Russell & Stone(2002)의 서번트 리더십 특성 연구 26
      4) Liden et al.(2008)의 다차원적 서번트 리더십 연구 29
      5) van Dierendonck(2011)의 통합적 서번트 리더십 연구 32
    3. 서번트 리더십과 다른 리더십 이론과의 비교 34
      1) 서번트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 34
      2) 서번트 리더십과 진정성 리더십 35
      3) 서번트 리더십과 윤리적 리더십 37
      4) 서번트 리더십과 임파워링 리더십 39
  제2절 서번트 리더십의 연구 경향 40
    1. 서번트 리더십 연구를 위한 저널선정 40
    2. 서번트 리더십 연구현황 및 목적 43
    3. 서번트 리더십 연구 메타분석 44
      1) 서번트 리더십의 연구영역 44
      2) 서번트 리더십과 분석대상 46
      3) 서번트 리더십의 이론연구 47
      4) 서번트 리더십과 주요변수 48
      5) 서번트 리더십 연구방법론 49
      6) 서번트 리더십 측정 53
    4. 서번트 리더십 향후 연구방향 57
    5. 소결 61
제3장 연구 설계 63
  제1절 연구사례의 발굴 65
    1. 사례 유형의 선정 65
    2. ‘국가 정책’ 사례와 ‘고위직 신료’ 사례의 발굴: 세평적 사례 선택 67
      1) ‘국가 정책’ 사례의 발굴 절차 68
      2) ‘고위직 신료’ 사례의 발굴 절차 87
  제2절 서번트 리더십의 분석틀 개발 88
    1.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적 분석틀’의 초안 작성 88
    2. ‘분석틀 개발 자문단’의 구성 및 자문 진행 90
      1) ‘분석틀 개발 자문단’의 구성 90
      2) ‘분석틀 개발 자문단’의 자문 절차  92
    3. ‘분석틀 개발 자문단’의 의견 분석 결과 93
      1) 제1차 전문가 자문: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적 분석틀’의 하위 요인 재구성 93
      2) 제2차 전문가 자문: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적 분석틀’의 하위 요인 재정의 96
제4장 세종의 서번트 리더십: 개별적 사례 분석 99
  제1절 개별적 사례 분석 101
    1. ‘국가 정책’ 사례 102
      1) 화폐개혁의 중단: 사례 #서-정-1 102
      2) 공법의 개혁: 사례 #서-정-2 108
      3) 야인 정벌: 사례 #서-정-3 114
      4) 진법서 편찬: 사례 #서-정-4 122
      5) 격무에 의한 건강 문제: 사례 #서-정-5 130
      6) 훈민정음의 창제: 사례 #서-정-6 136
      7) 교린 외교(왜): 사례 #서-정-7 146
      8) 가뭄과 전염병에 대한 대처: 사례 #서-정-8 153
      9) 사대 외교(명): 사례 #서-정-9 157
      10) 최초의 여론조사 실시: 사례 #서-정-10 162
      11) 변경에 대한 정보수집 정책: 사례 #서-정-11 167
      12) 강무의 실시: 사례 #서-정-12 174
      13) 「향약집성방」 편찬: 사례 #서-정-13 180
      14) 권농교서와 「농사직설」 편찬: 사례 #서-정-14 184
      15) 사가독서제의 실시: 사례 #서-정-15 189
      16) 중궁을 위한 불경 제작: 사례 #서-정-16 193
      17) 「칠정산」 편찬: 사례 #서-정-17 199
      18) 의정부서사제의 실시: 사례 #서-정-18 204
      19) 제가(齊家) 정책: 사례 #서-정-19 208
      20) 구휼(救恤) 정책: 사례 #서-정-20 213
      21) 경연의 실시: 사례 #서-정-21 219
      22) 금속활자의 주조와 서적의 보급: 사례 #서-정-22 224
      23) 세자교육: 사례 #서-정-23 230
      24) 「삼강행실도」 편찬: 사례 #서-정-24 236
      25) 즉위교서 반포: 사례 #서-정-25 243
    2. ‘고위직 신료’ 사례 248
      1) 황희: 사례 #서-신-1 248
      2) 정인지: 사례 #서-신-2 256
      3) 김종서: 사례 #서-신-3 262
      4) 장영실: 사례 #서-신-4 267
      5) 양녕대군: 사례 #서-신-5 271
  제2절 분석 결과의 요약 279
제5장 세종의 서번트 리더십: 종합적 사례 분석 281
  제1절 종합적 사례 분석: 서번트 리더십의 구성요인별 분석 283
    1. 경청 285
    2. 공감 286
    3. (수평적) 상호소통 286
    4. 통찰 287
    5. 청지기 의식 288
    6. 부하직원의 성장 지원 289
    7. 공동체 의식 형성 289
  제2절 세종의 서번트 리더십: 현대적 함의 291
    1. 경청 292
    2. 공감 293
    3. (수평적) 상호소통 294
    4. 통찰 296
    5. 청지기 의식 297
    6. 부하직원의 성장 지원 298
    7. 공동체 의식 형성 299
제6장 결 론 301
  제1절 연구 결과의 요약 303
  제2절 연구의 공헌 및 한계 309
    1. 연구의 공헌 309
      1) 이론적 공헌: 한국적 맥락을 고려한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적 분석틀’의 정립 309
      2) 방법론적 공헌: ‘국가 정책’ 사례 선정 방법의 체계화 309
      3) 교육적 공헌: 세종의 서번트 리더십 사례의 교육적 활용 310
    2. 연구의 한계 310
      1) 이론적 한계: 군주국가와 민주국가 간의 시대적 간극에 대한 미고려 311
      2) 방법론적 한계: ‘고위직 신료’ 모집단의 부재 및 사례 수의 부족 311
      3) 교육적 한계: 세종의 서번트 리더십 사례의 제한적 활용 312
참고문헌 313
국내문헌 313
국외문헌 318
웹사이트 324


연구책임자의 다른 발간물

기본연구과제의 번호, 제목, 연구책임자, 년도, 전문, 조회수 안내

기본연구과제 목록
제목 연구책임자 년도 전문
세종 리더십의 현대적 해석 윤종설 2020 바로보기 다운로드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리며 답변이 필요한 의견은 묻고답하기 게시판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담당부서 : 공공리더십ㆍ갈등관리연구실
  • 담당자 : 나지석
  • 문의사항 : 02-2007-0563

맨위로 이동

COPYRIGHT ⓒ 2022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LL RIGHTS RESERVED
(우)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35 대표전화 02)564-2000